대구의 새 취수원으로 논의 됐던 안동댐 모습. 국민DB
해결 기미가 보였던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가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는 모양새다.
정권 교체로 취수원 이전에 대한 정부 시각이 바뀌면서 기존 사업에 대한 재검토 기류가 흐른다.
6일 지역 정가와 대구시 등에 따르면 최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안동댐 물을 대구에 공급하는 대구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에게 환경부 관계자가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재검토하겠다는 뜻을 밝히면서 기존 사업 기조 유지가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식수원 문제 해결이 대구 숙원 사업이 된 것은 과거 구미공단 등이 원인이된 수질오염 사고 때문이다.
1991년 ‘페놀’ 유출, 2004년 ‘1,4-다이옥산’ 유출, 2006년 ‘퍼클로레이트’ 유출 등 30여년 동안 9차례나 수질오염 사고가 발생했다.
이 때문에 대구시민들은 식수에 대한 공포가 생길 정도로 정신적으로 피해를 입었다.
이에 대구시는 구미공단 위쪽 낙동강 상류 취수원 이전을 추진했지만 이전을 원하는 대구시와 물 부족 우려 등을 내세우며 반대하는 구미시가 갈등을 빚었다.
2009년부터 이어진 두 도시의 대립은 대구시의 경제지원 제안 등을 구미시가 받아들여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 협약이 성사되면서 일단락되는 듯 보였다.
하지만 민선8기 시작과 함께 구미시의 입장이 변했고 약속도 깨졌다.
이에 대구시는 안동댐 물 공급으로 방향을 돌렸다.
2022년 관련 용역을 시작해 2023년 사업계획을 확정했고 이를 환경부에 건의해 정부와 협의를 이어오고 있었다.
새 정권이 들어서자 정부가 안동댐 물 활용 방안에 대해 회의적이라는 이야기가 지역에서 확산됐고 사업에 대한 실효성 논란도 일었다.
그동안 우려를 낳았던 110㎞ 길이 도수관로 건설 비용 문제 등이 발목을 잡았다는 분석이다.
대구시가 안동댐 물 공급만 고집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파악된다.
대구시는 최근 안동댐뿐만 아니라 기존 구미 해평취수장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검토할 것이라는 뜻을 내비치기도 했다.
지역에서는 정부가 해결에 속도를 내는 것이 중요하지 방식은 상관없다는 기류도 포착된다.
대구시는 취수원 이전 문제 국정 과제 반영을 위해 노력 중이다.
30년 난제 대구 물 문제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