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섭단체 오찬 한창민 “검찰정권 희생자 조국” … 천하람 “반대”
▲이재명 대통령이 3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 관저에서 비교섭단체 야 5당 대표와 오찬을 하기위해 모여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한창민 사회민주당 대표가 이재명 대통령 취임 30일을 맞아 이 대통령과 만난 자리에서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의 특별사면을 건의했다.
이 대통령은 즉답을 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천하람 개혁신당 대표 권한 대행 겸 원내대표는 4일 미디어오늘에 "이재명 대통령의 사면은 조국혁신당이 대선에 후보를 내지 않은 데 대한 보은으로 볼 여지도 크다"라며 "대가성 사면이 정치권의 관행이 돼선 안 된다"라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3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서 김선민 조국혁신당 대표 권한대행 및 서왕진 원내대표, 김재연 진보당 대표 및 윤종오 원내대표, 천하람 개혁신당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 용혜인 기본소득당 대표, 한창민 사회민주당 대표 겸 원내대표와 오찬을 했다.
공개 발언을 하던 한창민 사회민주당 대표는 돌연 "전 정권의 사법 피해자들이 무수히 많다.
언론인들과 정치인들도 사법의 정치화로 많이 희생당했다.
검찰 정권의 가장 큰 희생자 중 하나는 조국 대표이기도 하다"며 "올해 광복 80주년을 맞아 8·15 대사면을 통해 지난 검찰 독재에서 피해를 당한 노동자, 언론인, 정치인 등 우리 국민을 위한 빠른 명예 회복 조치가 이뤄졌으면 한다"라고 건의했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야 5당 지도부 중에서 (비공개 오찬에서도) 현재 사면 복권 관련해서 조국 전 대표를 포함한 정치인들 그리고 검찰에 의해 피해를 입은 노동자들의 사면 복권을 한 번 더 건의했다"라며 "이에 대통령은 먼저 수용 생활을 하고 계신 노동자들의 실태 파악을 지시했다"라고 밝혔다.
조 전 대표 사면 요청에 이 대통령이 어떻게 답변했느냐는 한국일보 기자 질의에 우 수석은 "조국 전 대표의 사면 복권 문제에 대해서는 즉답은 하지 않으셨다"라고 답했다.
우 수석은 사면복권 시점을 묻는 질의에 "야 5당 지도부 중에 사면 복권 얘기하신 분들 얘기를 잘 들으셨고, 반응을 보이신 것은 노동자들 사면에 대해서만 '실태 조사를 해 봐라'고 지시했다는 정도 대화였다"고 설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3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 관저에서 비교섭단체 야 5당 대표와 오찬을 하면서 참석자들의 발언을 듣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이를 두고 오찬에 동석했던 천하람 개혁신당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4일 오후 '조국 전 대표 사면 건의 비공개 발언 경위가 어떻게 되는지', '조 전 대표 사면에 대한 의견이 뭔지'를 묻는 미디어오늘 기자 질의에 SNS 메신저 답변에서 "비공개에서 나온 이야기를 확인해 드리기 어렵다"라면서도 "조국 전 대표와 관련해서는 저희가 위선과 내로남불, 피해자 코스프레 등 꾸준히 비판해 왔다"라고 밝혔다.
천 권한대행은 "특히 이재명 대통령의 사면은 조국혁신당이 대선에 후보를 내지 않은 것에 대한 보은으로 볼 여지도 커서 이러한 대가성 사면이 정치권의 관행이 돼선 안 된다고 본다"라고 답했다.
개혁신당 공보국은 지난 3일 저녁 출입기자 단체 SNS 메신저에 올린 공지문에서 "개혁신당을 포함한 야 5당이 3일 이재명 대통령과의 지도부 오찬에서 조국 전 장관(대표) 등 정치인들과 노동자들에 대한 사면 복권을 건의했다는 일부 언론 보도는 사실이 아니다"라며 "개혁신당 천하람 대표(권한대행)는 조국 전 장관(대표) 사면 복권을 건의한 바가 없다.
개혁신당은 조 전 장관(대표)의 사면에 반대한다"라고 밝혔다.
김성완 시사평론가도 4일 YTN 라디오 '이익선 최수영의 이슈앤피플'에 출연해 조 전 대표 사면 건의를 두고 "지금은 얘기할 시점이 아닌 것"이라며 "이재명 대통령도 '지금은 민생 챙기는 게 제일 1순위다'라고 얘기하고 있고, 워낙 경제가 안 좋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 평론가는 경제문제와 관세 협상 등의 문제부터 해결하고 사회 갈등을 치유하거나 이런 문제를 해결해도 늦지 않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 같다며 "그 부분에 대해서 명확하게 얘기를 안 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조국 전 장관 사면 건의… 李 대통령 즉답 피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