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이 5일 기준치를 초과한 가소제가 검출된 짝퉁 라부부 키링 사진을 공개했다.
사진 제공=관세청 [서울경제] 최근 국내로 수입된 ‘짝퉁' 라부부 키링과 장신구에서 기준치를 수백 배 넘는 발암물질이 대거 검출됐다.
관세청은 올해 상반기 해외에서 국내로 들어온 지식재산권 침해 제품(일명 짝퉁) 가운데 장신구와 라부부 키링 250점을 무작위로 분석한 결과 절반 가까운 112점(44.8%)에서 납·카드뮴·가소제 등 유해 성분이 기준치를 초과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이달 11일 중국 ‘광군제’, 28일 미국 ‘블랙프라이데이’ 등 해외 대규모 할인 시즌을 앞두고 불법 수입 제품이 급증할 것으로 보고 선제적으로 진행됐다.
특히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몬스터 엘프’ 캐릭터 ‘라부부’의 모조 키링 5점을 정밀 분석한 결과 이 중 2점에서 국내 안전기준의 344배에 달하는 가소제(DEHP)가 검출됐다.
DEHP는 국제암연구소(IARC)가 지정한 인체 발암가능 물질로 내분비계 교란과 남성의 정자 수 감소, 불임, 조산 등 생식 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귀걸이, 목걸이, 헤어핀 등 짝퉁 금속 장신구 245점 중 110점에서 발암물질이 검출된 것으로 드러났다.
일부 제품에서는 납이 허용 기준의 4627배, 카드뮴은 120배, 두 성분을 합치면 최대 5527배까지 검출돼 충격을 줬다.
납과 카드뮴은 체내에 축적될 경우 신장·소화기계·생식기계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명구 관세청장은 "유명인을 따라하려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짝퉁 소비가 늘고 있지만 이는 지식재산권 침해를 넘어 국민 건강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라며 "국민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수입 물품에 대한 안전성 분석을 강화하고 불법·위해 물품 반입 차단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짝퉁 제품은 안전기준을 준수하지 않은 채 제조되는 경우가 많아 인체 위해 우려가 큰 만큼 소비자들은 '값싼 모조품'의 유혹을 경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다들 가방에 달고 다니던데"…짝퉁 라부부 키링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