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 DB]
[헤럴ㄷ경제=박혜원 기자] 한국은행이 통화완화 정책을 지속하는 데 우호적인 대내외 여건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6일 ‘우호적인 통화정책 여건 기대감, 완화적 통화정책 지속 필요’ 보고서에서 이런 전망을 바탕으로 “성장 친화적인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해 나가는 동시에 정책적 대응을 통해 금리인하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물가안정 목표치인 2.0% 근방에서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추가적인 인플레이션 압력도 낮은 것으로 분석했다.
가계부채 불확실성이 여전하지만, 지난달 27일 발표된 대출 규제로 향후 안정적인 수준에서 관리될 가능성이 커진 것으로 봤다.
대외적으로는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격차가 현재 수준(2.00%포인트)에서 크게 확대될 가능성은 작은 것으로 전망했다.
원/달러 환율은 올해 하반기에도 1,360원대 안팎으로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원은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가 유지될 경우 적정금리 수준은 올해 3분기 2.29%, 내년 1분기 2.05%로 추정된다”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경기 회복 모멘텀을 형성해 나가기 위해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 유지를 통한 성장률 제고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현대경제연구원 “내년 1분기 적정금리 연 2.05%로 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