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헤럴드경제=박혜원 기자] 산업통상자원부가 6일 미국 워싱턴 DC를 방문 중인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만나 오는 7월 8일로 기한이 종료되는 상호관세 유예를 연장하는 방안에 대해 협의했다고 밝혔다.
여 본부장은 상호관세 유예 시한을 앞두고 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와 만나 관세 협상을 이어갔다.
이 자리에서 여 본부장은 미국 관세 조치에 대한 한국 측의 입장과 함께 한미 간 상호호혜적인 제조업 협력 프레임워크를 놓고 한국 측 비전을 제시했다.
또한 양국 간 긴밀하게 연계된 상호 보완적인 경제·산업 공급망을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해 한미 제조업 협력 비전을 제안했다.
양국 간 최종적인 합의에는 자동차, 철강·알루미늄 등 품목 관세의 철폐 또는 완화가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는 점도 재차 강조했다.
양측은 한국의 새 정부 출범 이후 한 달간 ‘선의’에 기반한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는 점과 함께 상호 입장 차이를 더욱 좁혀나갈 필요가 있다는 점에도 인식을 같이했다고 산업부는 전했다.
보다 내실 있는 협상을 위해서는 이달 8일 종료될 예정인 상호관세 유예 시한을 연장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협의했다.
여 본부장은 “정부 출범 초기부터 양측이 모두 윈윈하는 호혜적 방안 마련을 위한 협상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며 “예단할 수 없는 상황이나, 그간 양국이 쌓아온 견고한 협력 모멘텀을 유지하고, 미국 관세 조치에 대한 우호적 결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마지막까지 국익에 기반한 협의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통상본부장, 미 USTR 대표와 ‘상호관세 유예’ 연장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