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보건대 제공]
[헤럴드경제(대구)=김병진 기자]대구보건대는 지난 3일부터 4일까지 양일간 경남 밀양에 위치한 보현연수원에서 ‘중장년 다시이음 프로그램 개발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직업이음센터와 노사발전재단이 공동 주관했으며 중장년 지원 실무자 등 관계자 35명이 참여했다.
워크숍은 중장년층의 경력 회복과 자립을 지원하는 맞춤형 고용 연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역사회 기반의 협력모델을 공동 설계하고자 마련됐다.
참가자들은 정서회복 지원 활동과 기관 간 교류 세션을 통해 중장년 대상 프로그램에서 심리적·사회적 요인을 중심으로, 단순 취업 연계를 넘어선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에 공감했다.
또 표충사 등 지역 자원 탐색과 자유토론을 통해 각 기관의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직업이음’ 모델의 실행 방안과 협업 가능성을 모색했다.
이현영 직업이음센터장(학생상담센터장)은 “이번 워크숍은 각 지역 중장년 지원 실무자들이 모여 현장의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실현 가능한 연계 모델을 논의할 수 있어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며 “앞으로도 중장년이 일상과 사회에 다시 연결될 수 있도록 대학이 실질적 역할을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보건대 직업이음센터는 글로컬대학30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지역 맞춤형 고등직업교육 허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다양한 계층이 보건·복지·고용 분야를 아우를 수 있도록 ‘이음’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확장해가고 있다.
kbj7653@heraldcorp.com
대구보건대 직업이음센터, 중장년 다시이음 프로그램 개발 워크숍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