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5일 오후 서울 용산구 드래곤시티호텔에서 열린 ‘2025 AI 챔피언 대회 시상식’ 에서 AutoPhone 팀(1위)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헤럴드경제=박혜림 기자] 국내 최고 인공지능(AI) 혁신 연구를 뽑는 서바이벌 ‘AI 챔피언 대회’에서 모바일 AI 에이전트 기술을 선보인 ‘오토폰’ 팀이 1위를 차지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일 서울 용산 드래곤시티 호텔에서 AI 챔피언 대회 결선 심사를 열고 5개 연구팀을 수상자로 최종 선정해 시상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수상팀에는 트로피와 함께 최대 5억∼30억원 규모의 후속 연구개발(R&D) 자금을 지원한다.
‘AI 챔피언’ 대회에서 1위를 차지한 오토폰팀은 ‘사람처럼 다양한 앱을 활용해 명령을 수행하는 모바일 AI 에이전트’를 주제로 출전했다.
이들이 개발한 기술은 사용자의 명령을 이해하고, 스마트폰 내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해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는 자율형 AI 에이전트 시스템이다.
오토폰팀은 앞으로 ‘FluidGPT 2.0: 완전 자율형 온디바이스 거대 액션 모델 기반 개인화 AI 에이전트’를 고도화하는 후속 연구를 이어갈 계획이다.
2위 ‘AI 이노베이터’ 상을 받은 스트라티오코리아팀은 ‘적외선 AI: 나만 만들 수 있는 적외선 데이터로 여는 재활용 혁신의 새 시대’를 주제로 했다.
이 팀은 기존 가시광선 기반 비전 처리 기술의 한계를 넘어, 적외선 다분광 영상 인식 기술을 활용해 물질 분석 정확도와 복합재질 인식률을 높이는 연구 성과를 선보였다.
공동 3위 ‘AI 챌린저’ 상은 세 팀이 수상했다.
▷레비보팀은 ‘모듈형 스캐닝 기반 지능형 모빌리티 외부 상태 진단 시스템’ ▷세이프앤젤팀은 ‘산업 맞춤형 능동 청력 보호 및 소통 장치를 위한 온디바이스 피지컬 AI 기술’ ▷파인호스트팀은 ‘음성 유저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숙박 운영 전반을 자동화하는 AI 솔루션’을 각각 발표했다.
올해 처음 열린 AI 챔피언 대회에는 자유 주제 연구로 총 630개 팀이 참가했다.
사전 심사를 통해 100개 팀이 선정됐고, 중간심사에서 20개 팀으로 압축된 뒤, 결선 1차 심사를 거쳐 최종 8개 팀이 본선 무대에 올랐다.
결선에서는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혁신성·실용성·성장 가능성 등을 종합 평가해 순위를 결정했다.
참가팀은 현장 시연 부스를 직접 운영하며 연구 성과를 발표해, 관람객이 기술의 혁신성과 파급 효과를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AI 챔피언 대회는 AI 기술을 연구하는 인재라면 자유주제로 누구든 참여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도전적인 대회로, 국내 최대 AI 분야 혁신 도전의 장”이라며 “우리 AI 인재의 도전 정신이 주목받고 세계 AI 산업을 이끄는 리더로 성장하는 데 아낌없이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국내 ‘AI 혁신연구 챔피언’ 나왔다…최대 30억원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