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복지 기관장 및 전문가 참여
사는 곳 찾아가 돌봄서비스 제공
울산시가 5일 울산형 통합돌봄추진협의체 발족과 함께 첫 회의를 가지고 돌봄을 필요로 하는 시민을 찾아 지원하는 민·관 협력체계 구축에 나섰다.
[울산시 제공]
[헤럴드경제(울산)=박동순 기자] 울산시가 시민들이 돌봄 시설에 가지 않고도 생활하고 있는 곳에서 의료·요양 등 돌봄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돕는 ‘울산형 통합돌봄추진협의체’를 5일 발족했다.
울산형 통합돌봄추진협의체는 행정부시장을 단장으로 시 및 구·군, 보건소 관계자, 국민건강보험공단 부·울·경본부장, 울산복지진흥원장, 울산시의사회 회장 등 의료·복지 분야 기관장과 관내 대학 교수 등 총 30명으로 구성됐다.
이번 협의체 발족은 내년 3월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에 발맞춘 것이다.
‘통합돌봄’은 노쇠, 장애, 질병, 사고 등으로 돌봄이 필요한 대상자에게 보건의료, 건강관리, 장기요양, 일상생활돌봄, 주거 등 필요한 서비스를 지자체가 직접 또는 연계해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울산시는 통합돌봄의 원활한 시행을 위해 지난달 31일 구·군과 보건소, 복지진흥원, 건강보험공단과 통합돌봄 준비 상황을 점검했으며, 5일 시청 본관 7층 상황실에서 돌봄서비스 연계 방안을 논의한다.
향후 일정은 ▷11일 시와 구·군 관계자 대상 역량강화 교육 ▷11월 관련 조례 제정 및 정책토론회 개최 ▷내년 1월까지 시와 구·군에 통합돌봄 전담팀 신설로 돌봄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체계를 구축한다.
안승대 울산시 행정부시장은 “울산은 고령인구 중 독거노인 비중이 높아 돌봄의 중요성이 커진 만큼, 각 서비스가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민·관 협력체계를 확실하게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울산형 통합돌봄추진협의체’ 발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