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현아 기자]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5일 취임 100일을 맞아 기자간담회를 가진 뒤,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소상공인·중소기업·벤처스타트업 지원 성과와 향후 정책 방향을 다시 한번 밝혔다.
한 장관은 “공직자의 중요한 의무 중 하나가 바로 ‘설명의 의무’라고 생각한다”며 “취임 100일을 맞아 기자 여러분 앞에 섰다”고 말했다.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5일 오후 서울 강남구 팁스타운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말하고 있다.
(사진=김세연기자) 한 장관은 취임 이후 소상공인, 벤처·스타트업, 중소기업 현장을 직접 찾아 정책에 반영해 왔다고 설명했다.
그는 “취임 이후 총 31회 정책 현장을 찾았는데, 평균 2일에 한 번 꼴이었다”며 “현장의 논의와 검토를 시급한 정책에 반영해 시행했다”고 적었다.
그는 지난 9월 발표한 ‘미국 상호관세 대응 지원방안’을 시작으로 △중소기업 기술탈취 근절방안 △중소벤처기업 R&D 혁신방안 △소상공인 회복 및 재기지원 방안 △AI기반 스마트 제조혁신 3.0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 등 6개의 주요 대책을 언급하며 “현장 목소리를 반영해 시행 중이거나 시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정부의 내수 진작 정책과 연계된 ‘상생페이백’, ‘동행세일’ 등이 내수 회복을 견인한 점도 성과로 꼽았다.
한 장관은 앞으로의 정책 방향으로 벤처·스타트업, 중소기업, 소상공인의 ‘성장’을 위한 4대 추진 계획을 제시했다.
그는 “벤처투자 시장 40조원 조성을 통해 ‘Again 벤처붐’을 만들겠다”며 AI 등 딥테크 분야 스타트업 육성을 강조했다.
이어 중소기업의 생산성과 혁신 강화를 위한 R&D 확대, 스마트공장 확산 등을 통해 ‘스케일업’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소상공인 정책에 대해서는 ‘회복’과 ‘성장’을 병행해 지원하며, 위기 모니터링과 정책자금·채무조정·폐업 및 취업 지원, 상권 단계별 지원, 디지털 전환을 통한 ‘K-소상공인’ 육성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대·중소·스타트업·소상공인이 연결되는 기업 생태계 강화를 위한 ‘정책 혁신’ 방향도 언급했다.
한 장관은 “현장에서 느낀 점은 통계나 자료만으로는 알 수 없는 애로가 다양하다는 것”이라며 “답도 역시 현장에 있다”고 강조했다.
또 벤처투자 확대 계획에 대해 “AI 시대 성장동력을 만들기 위한 필요성과 민간자금이 참여할 유인 구조를 만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글을 마무리하며 “중소기업이 ‘회복’을 넘어 ‘성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한성숙 중기부 장관 “취임 100일… 회복을 넘어 성장으로 가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