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정비창 전면1구역 조감도. HDC현대산업개발
HDC현대산업개발이 서울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 개발에 있어 용산역과 직접 연결되는 지하 공간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용산역 일대 주요 개발사업의 시행자 지위를 보유한 점을 내세워 해당 부지와 용산역을 연계할 수 있는 유일한 시공사라는 입장을 전달했다.
HDC현대산업개발은 시공사 입찰제안서를 통해 약 1만9300㎡(약 5843평) 규모의 용산역 지하 연결통로 및 상업공간 조성 계획을 제시했다.
해당 지하공간은 용적률에 산입되지 않아 분양수입 증대와 조합원 분담금 경감이 가능하다고 한다.
현재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은 지하철 1호선·경의중앙선·KTX가 정차하는 용산역과 신용산역을 도보로 15분 내에 이용할 수 있으나 단지 내에서 직접 연결되는 동선은 확보되지 않은 상태다.
HDC현대산업개발은 이에 대해 “지하철역과 단지를 직접 연결하는 구조는 주거 및 상업 자산의 미래가치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유사 사례로는 서울 강남구 압구정3구역이 있다.
이 지역 조합은 압구정역 1번 출입구 이설 및 단지와의 연결통로 구축을 위한 절차를 진행 중이다.
HDC현대산업개발은 서울시가 용산역 광장을 포함한 인근 지역과의 연계성 확보를 개발 지침으로 권장하고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
HDC현대산업개발 관계자는 “용산아이파크몰 외에도 용산역전면 공원 지하공간개발, 철도병원 부지 개발 등 용산 일대 다수 사업의 시행을 병행하고 있어 통합적인 개발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경쟁사인 포스코이앤씨는 용산역 인근 개발권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교통 인프라와 상권을 연계하는 측면에서는 HDC현대산업개발에 비해 한계가 있다는 평가다.
지하철역과 연결된 부동산의 임대료는 비연결 시설 대비 평균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2호선 을지로입구역과 직접 연결된 ‘눈스퀘어’의 전용 3.3㎡당 임대료는 약 35만 원으로, 인근 비연결 상업시설보다 약 25% 높았다.
신림선 신림역과 연결된 ‘경방 타임스트림’의 임대료도 인근 유사 시설보다 17.6% 높게 형성됐다.
오피스 빌딩도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2호선 역삼역과 연결된 강남파이낸스센터는 인근 SI타워 대비 임대료가 약 7% 높았으며 여의도역과 직접 연결된 Two IFC는 인근 원센티널보다 약 9% 높은 임대료 수준을 기록했다.
업계 관계자는 “지하철과 직접 연결된 건물은 유동인구를 흡수하는 구조로, 공실률이나 임대수익률 등 핵심 지표에서 차별화된 결과가 나타난다”면서 “용산정비창처럼 상권 통합 역량이 요구되는 사업지에서는 연결성을 실현할 수 있는 시공사의 역량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 시공사 선정 총회는 오는 6월 중순 개최될 예정이다.
HDC현대산업개발,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에 용산역 지하 연결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