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뉴시스
어느나라에서건 ‘멋지다(Cool)’고 여겨지는 사람들은 공통적으로 여섯 가지 특징을 보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외향적이고, 쾌락적이고, 강인하고, 모험적이고, 개방적이고, 자율적인 성격 특성을 가지면 ‘멋있다’고 여겨진다는 것.
4일(현지 시간) CNN은 ‘실험 사회심리학 저널(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에 이 같은 연구 결과가 소개됐다고 전했다.
미국 애리조나대와 조지아대, 칠레 아돌포 이바네즈대 등이 모인 국제연구팀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 미국, 중국, 독일, 스페인, 호주, 칠레, 인도, 멕시코, 남아프리카공화국, 나이지리아 등 총 12개국에서 60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참가자들은 자기 삶에서 ‘멋진(cool)’, ‘멋지지 않은(uncool)’, ‘좋은(good)’, ‘좋지 않은(not good)’ 사람으로 생각되는 이들을 떠올려보라는 요청을 받았다.
이후 성격 특성 구분 모델인 빅 파이브 성격 척도와 슈워츠 가치관 척도를 이용해 해당 인물의 성격을 평가했다.
그 결과 외향성, 쾌락성, 강인성, 모험성, 개방성, 자율성이라는 6가지 특성을 가진 사람은 국가와 나이, 성별, 교육 수준과 관계없이 ‘멋진 사람’으로 분류됐다.
논문 주저자인 토드 페주티 칠레 아돌포 이바녜스 대학의 마케팅학과 조교수는 “가장 놀라운 점은 한국이든, 중국이든, 미국이든 모든 국가에서 동일한 속성이 멋지다고 여겨졌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페주티 조교수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멋진’ 유명인을 말해달라는 취재진의 요청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를 언급했다.
그는 “머스크는 논란의 여지가 있는 인물이지만 6가지 특징을 모두 갖추고 있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또다른 논문 주저자인 케일럽 워런 애리조나대 조교수는 “멋진 사람들은 도덕적 의미에서 꼭 ‘좋은’ 것으로 여겨지지 않는, 예를 들면 쾌락주의적이거나 강인한 성격과 같은 다른 특성을 종종 가진다”고 말했다.
연구에서도 좋은 사람은 침착성, 성실성, 보편성, 동조성, 온화함, 안정감, 전통성, 순응성이라는 특징을 보이며 멋진 사람의 성격 특성과 차이를 보였다.
‘쿨하다’는 사람들의 공통적 특징 6가지…“머스크 대표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