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은정 신임 서울동부지검장이 4일 서울 송파구 서울동부지방검찰청으로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임은정 서울동부지검장이 6일 “검찰을 고치는 의사가 되고 싶었지만, ‘검찰의 장례를 치르는 장의사가 되겠구나’하고 생각한 지 오래”라며 “장의사 역시 너무도 막중한 역할이라고 생각하고 잘 감당해 볼 각오”라고 밝혔다.
임 지검장은 6일 오후 자신의 페이스북에 “한 시대를 잘 마무리 지어야 새로운 시대가 열리는 것”이라며 이렇게 적었다.
임 지검장은 “지난 금요일 서울동부지검에 첫 출근했다”며 “2018년 2월 서지현 검사의 미투로 발족된 진상조사단에 참고인으로 출석했다.
그때처럼 건물 모퉁이를 도니 기자분들의 카메라가 보였다”고 첫 출근의 소회를 밝혔다.
이어 “참고인에서 검사장으로, 겨울에서 여름으로 계절의 변화처럼 많이 달라진 듯한데 그때나 지금이나 검찰의 현실이 참담해 속이 상했다”며 “2018년 그때라도 제대로 고쳤다면 수사구조개혁의 해일이 이처럼 거세게 밀려들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적었다.
그는 ‘인천세관 마약수사 외압 의혹’을 규명하기 위한 합동수사팀이 서울동부지검에 차려진 것을 언급하며 “인천세관 마약밀수 사건을 잘 챙겨봐달라는 당부를 많이 듣고 있는데, 그 사건은 대검 합동수사팀에서 수사하고 서울동부지검은 공간만 빌려주는 것이라 제가 관여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또 해당 사건을 폭로한 백해룡 경정(전 영등포서 형사과장)과 해병대원 채수근 상병 순직사건 수사외압 의혹을 폭로한 박정훈 대령에게 격려 방문을 와달라고 부탁했다고도 소개했다.
임 지검장은 “서울동부지검은 검찰 수사관들이 청사 앞 다방에 모여 검찰 수뇌부의 결정에 반기를 드는 집단소송을 결의한 속칭 ‘란다방의 난’으로 유명한 청”이라며 “대검의 탄압이 워낙 심해 결국 진압당했었지만, 결기의 DNA가 있어 여기라면 해볼 만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씩씩하게 계속 가보겠다”며 “함께 해달라”고 덧붙였다.
임은정 “검찰 고칠 의사 대신 장의사 역할 하겠다…새 시대 열릴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