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앱 대신 전화로 택시를 호출할 수 있는 ‘동행 온다콜택시’ 서비스를 오는 7일 오후 2시부터 시범 운영한다고 6일 밝혔다.
카카오T 같은 앱으로 택시를 호출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고령 시민을 위한 사업이다.
‘동행 온다콜택시’를 이용하려는 시민은 콜센터(1855-0120)에 전화해 택시 승차를 희망하는 장소와 목적지를 말하면 된다.
콜센터 직원이 배차 시스템에 이것을 입력하면 승객 주변에 있는 택시 기사에게 승·하차 관련 정보가 전송되고 기사가 수락하면 매칭이 된다.
승객은 배차가 확정되면 차량 위치와 차량 번호, 택시 기사 연락처를 카카오톡 알림톡 혹은 문자메시지로 받을 수 있다.
‘동행 온다콜택시’는 시범 운영 기간 동안에는 오전 9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이용할 수 있다.
서울시는 향후 24시간 운영 여부도 검토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번 사업은 앱 이용에 어려움을 느끼는 고령자 등 디지털 약자를 배려해 추진되는 사업이라는 설명이다.
서울연구원 2024년 조사에 따르면, 20~40대는 60% 이상이 앱으로 택시를 호출하지만, 60대 이상은 거리에서 손을 흔들어 택시를 잡는 ‘배회 영업’ 택시를 이용하는 비중이 약 80%를 차지했다.
콜택시 시스템 운영은 현재 서울시에서 ‘온다택시’를 운영 중인 티머니모빌리티 측이 맡는다.
서울 택시 7만1000대 중 50% 가량이 약 3만6000대가 온다택시에 등록돼 있어 원활한 배차가 가능할 것으로 서울시는 내다본다.
관련 시스템 구축 비용도 티머니모빌리티가 전액 대기로 했다.
티머니모빌리티는 이미 창원, 춘천 등에서 디지털 약자를 위한 택시 전화 호출 서비스를 운영해오고 있다.
서울지역 법인·개인택시조합은 택시업체와 기사들에게 이번 사업을 적극 알리고 참여를 독려하겠다고 했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디지털 기기 이용에 어려움이 있는 시민의 이동 편의를 높이기 위한 지원을 다각적으로 고민해 개선하는 중”이라며 “앞으로도 약자의 이동권 보장을 위한 서비스를 지속 발굴해나가겠다”고 했다.
지난 5월 31일 서울 강서구 김포국제공항 국제선 택시승강장에 택시들이 늘어서 있다.
/김용재 영상미디어 기자
“택시앱 어려워” 전화가 더 편한 어르신 위해 서울시 ‘콜택시’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