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 대만처럼 보이스피싱 범죄를 실시간 추적, 대응하는 통합 대응단을 이달 말 출범한다.
기존에 경찰청이 운영하던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센터를 강화해 단순 피해 신고·상담뿐만 아니라 범죄 수법을 분석하고 전국 보이스피싱 수사를 지휘하는 ‘컨트롤 타워’ 역할을 맡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경찰청 산하의 기존 신고센터는 상주 인력이 43명이다.
평일 오전 9시부터 밤 10시까지 피해 접수와 상담 등의 업무를 맡고 있다.
그러나 보이스피싱 피해액이 매년 급증해 올해 사상 최초로 1조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되자 정부는 센터를 확대해 상주 인력을 137명으로 기존 3배 가까이 늘리고, 상담 시간도 오는 17일부터 24시간 연중무휴로 운영하기로 했다.
기존 총경급이 맡고 있던 센터장도 치안감이 맡게 된다.
통합대응단에는 범죄 수법을 분석하는 범죄분석팀 50명도 새롭게 배치될 계획이다.
이들은 접수된 피해 사례를 분석해 경찰 수사팀과 공유하고, 전국 각지에 접수된 보이스피싱 사건의 수사 상황을 지휘하게 된다.
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금융감독원 등 관계 기관 직원들도 대응단에 파견돼 경찰과 함께 정책 개선 방안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경찰 관계자는 “보이스피싱 범죄가 더 먼저 등장한 대만 사례를 참고해 통합대응단을 보이스피싱 근절을 위한 거점으로 성장시킬 것”이라고 했다.
한국도 실시간 추적 ‘통합 대응단’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