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세법안 갈등 끝 결별…“양당 체제 깨겠다”
상·하원 캐스팅보트 노린 전략…내년 중간선거 출마 예고
일론 머스크(왼쪽)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최측근이었던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신당 창당을 선언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공화당이 주도한 대규모 감세 법안이 의회를 통화하자 ‘제3당’을 만들어 공화당과 민주당이 양분하고 있는 미 정치에 변화를 가져오겠다는 취지다.
머스크는 5일 자신의 사회관계망 서비스 엑스(X·옛 트위터)에 “2대 1의 비율로, 여러분은 새로운 정당을 원했고, 여러분은 그것을 갖게 될 것”이라며 “오늘, 여러분의 자유를 되찾아주기 위해 아메리카당(America Party)을 창당한다”고 했다.
또 “국가가 낭비와 부패로 파산할 수 있는 문제에서 우리는 민주주의가 아닌 단일 정당 체제 속에 살고 있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머스크는 미국 독립기념일이었던 4일 “독립기념일은 양당 체제로부터 독립을 원하는지 물어볼 완벽한 순간”이라며 창당에 대한 찬반을 묻는 온라인 투표 창구를 올렸다.
‘2대 1의 비율’은 찬성과 반대 비율이 2대 1이었다는 점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 투표는 총 124만여명이 했고 65.4%가 찬성을 누른 것으로 나타났다.
머스크가 트럼프 대통령과 결별하게 된 결정적인 계기는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 법안인 ‘크고 아름다운 법안(One Big Beautiful Bill Act·OBBBA)’인 것으로 보인다.
머스크는 “(법안은) 미국에서 수백만 개의 일자리를 파괴하고 막대한 전략적 피해를 줄 것”이라며 “완전히 말도 안 되고 파괴적이다.
과거 산업에는 혜택을 주는 반면 미래 산업에는 심각한 피해를 준다”고 했다.
이에 트럼프가 “그는 완전히 미쳤다”며 공개 설전을 벌였고, 이에 머스크는 공개적으로 사과하며 화해 분위기가 조성됐지만 법안이 통과되자 머스크는 결국 창당을 선언했다.
머스크는 자신의 정치 세력화 전략도 일부 밝혔다.
현재 양당이 근소한 차이의 의석 수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소수 의석을 차지해 캐스팅보트를 거머쥐겠다는 계획이다.
현재 상원은 공화당(53석)이 민주당(47석·무소속 포함)을 앞서고 있다.
하원에서도 공화당은 220석으로 민주당(212석·3석은 공석)과 크게 차이 나지는 않는다.
머스크는 “상원 의석 2∼3석과 하원 선거구 8∼10곳에 집중하는 것이 한 방법”이라며 “매우 근소한 의석수 차이를 고려할 때, 그것은 논쟁적인 법안에 결정적인 표가 되기에 충분할 것이며 진정한 국민의 의지를 반영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머스크는 이날 별도 게시물에서 내년 중간 선거에서 후보를 내겠다고 했다.
하지만 미 현지에서는 머스크의 제3당 성공 가능성을 회의적으로 보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미국 현대 정치의 특징은 양당제였으며 수많은 중도 성향의 억만장자들이 수십 년 동안 성공적인 제3당을 꿈꿔왔다”며 “새로운 영향력 있는 정당을 만드는 데에는 수많은 장벽이 존재한다.
게리맨더링(선거구 조작)과 극심한 정치적 양극화, 비용이 많이 들고 복잡한 투표 자격 요건을 요구하는 주 법률들이 그 예”라고 보도했다.
머스크, 트럼프 등지고 신당 창당…美 양당제에 도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