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칼텍스 여수공장 전경. 사진 GS칼텍스
GS칼텍스의 1분기 엽엉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72% 급감했다.
국내 정유 4사의 실적이 전반적으로 저조한 가운데, 국제 유가 급등락까지 이어지면서 2분기에도 실적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9일 GS칼텍스는 1분기 연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약 6% 감소한 11조1138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영업이익은 지난해 1분기보다 약 72% 줄어든 1161억원에 그쳤다.
적자는 피했지만 감소폭이 컸다.
부문별로는 정유 부문에서 매출 8조4840억원, 영업이익 771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9%, 74% 감소했다.
회사 관계자는 “미국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과 글로벌 경기 둔화 영향으로 정제마진과 석유화학 제품 스프레드(최종 제품 가격에서 원가를 제외한 값)가 악화된 게 실적 부진의 주된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1분기 실적 부진은 정유 업계 전반의 흐름이기도 하다.
에쓰오일과 SK이노베이션은 각각 1분기 영업손실 215억원, 446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적자 전환했고 HD현대오일뱅크는 같은 기간 영업이익(311억원)을 내긴 했지만 전년 동기 대비 90% 이상 급감한 수준이다.
정유 업계는 통상 여름철 수요 증가에 힘입어 2분기 이후 실적 반등을 기대하는 편이지만 올해는 상황이 다르다.
GS칼텍스 관계자는 “불확실성 해소와 이에 따른 글로벌 수요 회복 여부가 하반기 실적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뉴욕 유가가 미국 셰일오일 업계의 감산 전망에 따라 3% 넘게 급등했다.
사진은 7일 오전 서울 시내 한 주유소에 가격 안내문이 놓여 있다.
연합뉴스 급변하는 국제 유가 흐름도 변수다.
유가가 급격히 흔들릴수록 정제마진 예측이 어려워지고, 수요 회복에도 제동이 걸릴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5일(현지시간)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주요 산유국 간 협의체인 OPEC+가 6월 원유 생산량을 하루 41만1000배럴로 증산하기로 결정하자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배럴당 57.13달러까지 급락했다가, 다음날 미국 셰일업체들이 원유 생산량을 감산하기로 조정하며 3.43% 반등했다.
이후 8일(현지시간) 미국과 영국의 무역 협상 타결,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 기대감 등으로 다시 3.2% 급등해 59.91달러로 거래를 마감했다.
정유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이미 수요가 위축돼 있는 상황에서 유가까지 급변하면 시장에선 불확실성을 더 크게 느끼게 되고, 수요 회복도 더뎌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GS칼텍스 1분기 영업이익 72% 급감...오락가락 유가에 불확실성 커진 정유업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