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서울 종로구 교보문고에 일본 만화가 다쓰키 료의 '내가 본 미래'가 진열돼 있다.
작가는 앞서 이 만화를 통해 지난 2011년 3월 동일본 대지진을 예측해 화제를 모은 바 있다.
사진=뉴스1
한 만화에서 대지진을 예언한 소문이 세간을 술렁이게 했다.
작가 본인이 구체적인 날짜를 제시했던 것은 아니었으나 꿈을 꾼 날짜에서 비롯된 5일로 소문이 퍼졌다.
일본은 물론 다양한 나라의 언론을 통해 보도됐으나 실제 이날은 큰 지진 없이 무사히 지나갔다.
괴소문에 불과한 이야기일 수도 있지만, 일본 정부는 난카이 트로프 대지진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 점과 최근 가고시마현(鹿児島) 남부의 도카라 열도(トカラ列島)에서 짧은 기간 동안 지진이 집중적으로 일어나는 군발지진으로 불안감이 확산하자 난카이 대지진에 대비한 국가 '방재대책추진 기본계획'을 10년 만에 개정해 발표했다.
6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이 기본계획은 2011년 동일본대지진이 발생하고 난 뒤, 2014년 처음 제정됐다.
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한 10개년 목표를 세우고 중앙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이 추진할 대책을 정한다.
이번 개정은 지진과 쓰나미로 인한 직접 사망자 29만8천 명, 파손과 손실이 예상되는 건축물 235만 동을 예상 피해 규모로 산정했다.
그리고 방재대책을 통해 사망자의 80%, 건축물 피해 50%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 대책은 계획의 대상이 되는 지역들이 추진해야 하는 48개 항목을 다루고 있었지만, 개정안은 205개 항목으로 확충했다.
지난 10년간 기본 계획을 추진해왔지만, 지난해 1월 노토반도(能藤半島) 지진으로 여러 문제점이 추가로 드러나면서 대책의 고삐를 당겨야만 하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이번 대책에선 방재대책의 대상 지역도 추가됐는데, 나가사키현(長崎) 등 6개 현과 16개 시정촌이 추가 지정됐다.
다만 실질적으로 추진이 쉽지 않은 대책들도 있다.
5일 TV아사히는 '밀집 시가지 해소'와 같은 대책은 쉽게 해결되지 않고 있다고 짚었다.
도로 폭이 좁은 일본에선 긴급 사태 발생 시 소방차나 구급차 같은 긴급차량이 들어올 수조차 없는 길이 많은데, 밀집 시가지에선 도로 폭을 확장하고 싶어도 주택들이 차지하고 있는 이상 개축이 쉽지가 않다는 것이다.
주택들이 양보해 개축할 경우 지자체가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지만, 주민 이해를 구하기가 쉽지 않아 지금까지 밀집 시가지의 좁은 도로 중 61%만 해소가 됐다고 한다.
안전 일본, 대지진 괴담에도 대책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