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북한단체는 “살포 중단 계획 없어”
납북자피해가족연합회 회원들이 지난해 10월24일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경기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북전단 살포 계획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납북자피해가족연합회가 대북전단 살포 중단을 공식 선언한다.
그러나 북한동포직접돕기운동 등은 전단 살포를 계속하겠다는 입장이다.
최성룡 납북자피해가족연합회 대표는 6일 한겨레와 통화에서 “이재명 정부를 믿고 대북전단 살포를 중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납북자피해가족연합회는 대북전단 살포 주요 단체 중 하나다.
이들은 오는 8일 오전 11시께 경기도 파주시 임진각 한반도생태평화 종합관광센터 2층 야외 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단 살포 중단 이유를 밝힐 계획이다.
기자회견에는 김경일 파주시장과 윤후덕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도 참석한다.
납북자피해가족연합회는 박근혜 정부 때인 2013년께 대북전단 살포를 중단했다가 윤석열 정부 들어 ‘납치된 가족 소식지 보내기 활동’이라는 이름으로 납북자 사진과 송환 요구 메시지 등이 담긴 전단을 풍선에 매달아 북쪽에 보내왔다.
지난해 10월과 올해 4월에는 두 차례 임진각에서 공개 살포를 하려다 접경지역 주민 등과 갈등으로 무산됐다.
올해 4월27일 파주 임진각, 5월8일 강원 철원군, 6월2일 파주 모처에서 비공개로 전단을 살포했다.
최 대표는 “보수정부는 말만 하고 실질적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지 않았는데 이재명 정부가 남북대화 등을 통한 납북자문제 해결 의지를 보였기 때문에 대북전단 살포를 중단하는 것”이라고 했다.
최 대표는 앞서 지난달 24일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에게 위로 전화를 받은 사실을 밝히며 “대북전단 살포 중지를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파주시 등은 8일 열릴 기자회견에서 다른 단체에도 대북전단 살포 중단을 촉구할 계획이다.
다만 이들이 살포 중단에 나설지는 미지수다.
납북자가족들은 남북대화를 통한 가족 생사 확인과 송환에 방점을 두고 활동해온 반면, 탈북단체는 북한 체제 공격에 목적을 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민복 북한동포직접돕기운동 대표는 정부의 강경 대응과 납북자가족단체 입장 변화 등에 대해 “전단 살포 사실을 언론에 공개해온 ‘가짜’들을 걷어낼 기회”라며 “비공개 전단 살포를 계속할 것”이라고 했다.
박상학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도 최근 다른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대북전단 살포를 계속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납북자가족연합회, 8일 ‘대북전단 살포 중단’ 선언…“정부 믿어 보기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