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건축정책위원회 1·2기 위원으로 참여
4대강 경관 개선 사업 주제 발표도 해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달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이명박 정부 당시 ‘4대강 사업’을 뒷받침하던 국가건축정책위원회에서 활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불거진 연구 부정행위 의혹과 함께 위원회 활동 경력도 논란이 예상된다.
6일 국회에 제출된 이 후보자 인사청문요청안을 보면, 이 후보자는 이명박 정부 때인 2008년 12월1일부터 2010년 11월30일, 2011년 4월13일부터 2013년 4월13일까지 국가건축정책위원회(건축위) 1·2기 위원으로 활동했다.
이 위원회는 대통령 직속기구로 건축 분야 주요 정책을 심의하기 위해 2008년 처음 출범했다.
30명의 위원으로 구성되며 그중 절반은 민간 건축 전문가가 맡는다.
문제는 당시 건축위가 지역발전위원회(현 지방시대위원회)와 녹색성장위원회와 함께 4대강 사업을 뒷받침하는 구실도 했다는 점이다.
특히 이 후보자는 2011년 6월29일 건축위가 대전시청에서 연 ‘제1차 전국순회 건축 도시 정책 포럼’에서 ‘지역경쟁력 강화를 위한 도시·농어촌 경관 만들기’로 주제 발표를 하며 관련 사업으로 ‘4대강 주변 등 농어촌 경관 개선 사업’을 적시했다.
이 후보자가 4대강 사업 지원에 나섰다는 걸 보여주는 예다.
이 후보자의 이러한 이력은 앞서 제기된 연구 부정행위 의혹과 함께 국회 인사청문회 때 쟁점이 될 수 있다.
이름을 밝히길 꺼린 한 국립대 교수(교육학)는 “환경 파괴 정책을 뒷받침한 정부 위원회에서 활동한 인사가 교육부 장관으로 적합한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 인사청문회준비단 쪽은 “이 후보자는 (보수·진보) 진영을 가리지 않고 여러 정부에서 다양한 위원회 활동을 했다”고만 말했다.
앞서 이 후보자는 논문 중복 게재 등의 연구 부정행위 의혹도 받고 있다.
“강을 살리는 사업”…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이명박 정부 4대강 자문위 이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