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연합뉴스
은행권이 '6.27 대출규제'에 전산시스템 직격타를 맞으며 이달 중순께에나 비대면대출 전면 재개를 예상하고 있다.
자영업자 채무탕감 등 각종 금융 정책이 예고된 가운데, 향후 시스템 준비를 위해 충분한 사전 논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6일 은행권에 따르면 이달 중순부터야 비대면 대출이 전면 재개될 방침이다.
현재 은행권 비대면 대출은 지난달 27일 발표된 가계대출 규제 방안에 따라 새 기준에 맞는 전산 개발이 늦춰지며 한동안 중단된 상태다.
KB국민은행이 지난 1일부터 신용대출 등 일부 상품 비대면 판매를 재개한데 이어 각 은행별 신용대출, 전세대출이 차례대로 열리고 있다.
주택담보대출은 이르면 다음 주부터 시작돼 7월 중순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비대면 대출 판매가 완전히 정상화될 전망이다.
은행권에서는 향후 이같은 사태를 막기 위해 충분한 사전 협의가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번 '비대면 대출 중단 사태'는 가계 대출 규제에 맞는 전산시스템 준비에 충분한 시간과 논의가 없어 금융소비자 불편을 야기했다.
영업점 현장에서도 큰 혼선을 빚었다.
새 정부가 자영업자 코로나19 채무탕감 등 각종 추가 대책을 예고한 만큼 유사 중단 사례가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은행권 관계자는 “급작스러운 6.27. 가계대출 규제 도입으로 대출 관련 알고리즘 조정과 새 기준 반영 등 은행권 전산시스템 개발이 늦어져 금융소비자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며 “추후 새로운 정책 도입 시에는 금융권과 사전 협의를 거친다거나 조율하는 과정을 거쳐야 금융소비자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꼬집었다.
구체적 가이드라인 마련 필요성도 요구되고 있다.
명확한 용어 기준과 정책 방향 등이 수립되지 않으면 전산 개발 과정에서 비효율적인 개발·수정 과정이 반복될 수 있어서다.
자영업자 채무조정 등에 있어서는 연체자에 대한 신용점수 조정이나 구체적 기준 등 파생되는 여러 현상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있어야 시스템 대비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또 다른 은행권 관계자는 “정책 시행 이전에 금융사 의견 청취를 거치고, 용어에 대한 구체적 해석까지 논의해 전산시스템 반영에 필요한 내용을 사전 파악할 수 있게 해야 효율적인 시스템 준비가 가능하다”며 “사소한 알고리즘 개편 작업도 까다롭게 진행되는 만큼 금융 소비자와 영업 현장 혼선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은행권, 전산시스템 6.27 대출규제 후폭풍…“금융 정책 사전 논의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