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무역대표부(USTR)에서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 대표와 면담을 갖기 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산업부 제공 미국이 오는 7일(현지시간) 12개 나라에 상호관세율을 적은 서한을 발송한다.
12개 나라 중 우리나라가 포함됐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우리 정부는 상호관세 및 품목별 관세 완화를 위해 통상과 안보 수장이 나란히 미국을 방문해 막판 협상전에 나섰다.
8일 미국이 예고한 상호관세 유예가 종료되기 전 유리한 협상을 끌어낼지 주목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대통령전용기(에어포스원)에서 12개 나라에 대한 상호관세율을 적시한 서한에 서명한 뒤 7일 발송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서한 몇 통에 서명했고 그 서한들은 월요일(7일)에 발송될 예정이다.
아마도 12(통이 될 것)”라고 말했다.
관세 부과 시점은 8월 1일이다.
다만 구체적으로 어느 나라들에 서한이 발송될 것인지, 관세율이 얼마인지 등 세부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상황이 급박하자 우리 정부는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일주일 만에 다시 미국을 찾았다.
여 본부장은 5일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와 면담을 갖고 자동차·철강 등 품목별 관세 완화를 요구했다.
또 인공지능(AI), 반도체, 배터리, 바이오 등 핵심 분야에서의 '제조업 협력 프레임워크'도 제안했다.
미국이 우리에게 요구하는 비관세 장벽 완화와 무역수지 불균형 해소 등에 대한 방안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 본부장은 “현 상황은 매우 가변적이고 급박하다.
관세 유예 연장, 큰 틀의 조기 합의 도출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협상에 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다른 나라에 비해 불리하지 않은 대우를 받는 것도 지금의 협상 구도에서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관세협상, 정상회담 등 한미 간 현안에 대한 논의를 위해 6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미국 워싱턴DC로 출국하고 있다.
연합뉴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도 6일 미국을 찾았다.
방한을 닷새 앞두고 취소한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부 장관을 만나 관세와 안보 사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한미정상회담 등의 일정도 조율할 예정이다.
트럼프 “7일 관세서한 발송”…韓 통상·안보수장 나란히 美 찾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