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미지 투데이)
“서울대·연세대·고려대 등 소위 SKY를 비롯해 한국과학기술원(KAIST)을 제외하면 서울에 있는 대학이라 해도 기부금 모으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서울 A대 발전기금 부서 관계자)
대학 기부금도 빈익빈 부익부 현상을 보이면서 기부금 양극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실제 대학 기부금 현황을 살펴보면, 서울 주요 대형 대학에 기부 금액이 집중돼 있다.
2024년(2023년 결산기준) 대학알리미 공시 교비회계 기준 기부금 현황을 보면 기부금 모집 금액이 가장 많은 대학은 고려대로 810억6100만원이다.
이어 연세대(725억8000만원), 성균관대(207억1900만원), 울산대(192억5400만원), 이화여대(172억9800만원), 숙명여대(117억6400만원), 동국대(101억2900만원), 경희대(90억2400만원), 서강대(88억7500만원) 순이다.
(사이버대 및 신학대 제외) 기부 금액 10위권 내 대학 중 울산대를 제외하면 모두 서울 소재 대학이다.
기부 금액을 20위권으로 넓혀봐도 의대가 있는 을지대, 고신대를 제외하면 모두 서울 혹은 수도권 소재 대학이다.
사립대 기부 금액 1·2위 대학인 고려대·연세대와 그 뒤 대학의 기부 금액 격차도 크다.
이들 대학과 3위의 성균관대 기부금 규모는 무려 3~4배 차이가 난다.
예원예술대, 금강대, 대구예술대, 신경주대 등 한해 기부 금액이 1억이 채 되지 않는 대학도 있다.
국립대 상황도 비슷하다.
같은 기간 대학알리미 '국·공립대 발전기금회계결산' 자료를 보면 서울대가 기부금 782억88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KAIST(352억6600만원), 부산대(75억6900만원), 경북대(72억9500만원), 강원대(60억8200만원), 전남대(53억 4100만원), 충남대(51억4500만원), 전북대(42억7700만원), 한국해양대(37억6900만원), 충북대(33억7000만원) 등이다.
국공립대의 기부금 격차는 사립대보다 더 컸다.
서울대와 부산대는 약 10배 차이가 난다.
현재 대학 재정 구조가 대부분 등록금 수입에 의존함에 따라 기부금 모금이 총장의 대외 업무 우선순위가 되는 사례도 빈번하다.
지역 B 국립대 총장은 “총장이 되고 제일 먼저 한 일은 지역 행사를 돌아다니면서 지역사회 관계자와 기업인 등을 만난 것”이라면서 “발전기금, 기부금 모금을 위해 발로 뛰고 있다”고 밝혔다.
이 같은 결과는 기부금 문화가 활성화되지 않은 국내 현실을 반영한 것이란 의견도 있다.
한 대학 관계자는 “같은 금액을 기부하더라도 서울대와 지방대 중 선택하라고 하면 당연히 서울대에 기부하지 않겠느냐”며 “지역에서는 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공생을 강조하는 방향을 고민해봐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 지역 대학과 일부 대형 대학으로의 기부금 쏠림 우려가 커지면서 국회에서는 지방대 기부금 촉진법안이 발의됐다.
박민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일 지역 간 기부금 격차 문제를 해소하고 지방대의 재정 자립 기반을 지원하기 위한 '조세특례제한법'을 대표발의 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방대에 20만원 이상 금액을 기부할 경우 해당 금액의 110분의 100%를 세액공제 한다.
채희준 대학빌전기금협의회장은 “해당 법안이 통과되더라도 지역과 수도권 간 기부금 격차가 현격하게 줄지는 않겠지만, 제도가 없었을 때보다는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면서 “대학은 소액 기부 문화 확산, 지역 기업의 대학 사업에 기부 유도 등 자구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에듀플러스]대학 기부금도 양극화…최고 810억원 최저 1억원 미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