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붕 성균관대 라이즈사업단장이 인터뷰하고 있다.
(사진=우단우 PD) 이번 서울형 라이즈 성과에 성균관대는 한껏 고무됐다.
서울과 경기 라이즈를 총괄하는 최재붕 성균관대 라이즈사업단장은 이 결과를 두고 “10년 넘게 산학협력과 링크(LINC) 사업을 해오면서 축적해 온 역량을 인정받았다”고 표현했다.
다음은 최 단장과의 일문일답. -라이즈 사업에서 좋은 결과 낸 비결은 무엇인가. ▲그동안 링크 사업을 하면서 산학협력에 주력해왔다.
산학협력의 질적 향상을 위해 10년 넘게 뿌리부터 체질을 개선했다.
교내에는 산학협력만 10년 넘게 전담해 온 전문가와 교수도 많다.
일반 대학이 이런 움직임을 단시간에 이루기는 어렵다.
대학이 주도적으로 키를 잡고 역량을 축적하지 않으면 대형 사업에 선정되기 쉽지 않다.
축적돼 온 역량이 빛을 봤다.
-라이즈 전환 앞두고 대학에서는 우려가 많았는데. ▲대학은 그동안 산학협력 중요성을 인지하고 지속해왔지만, 지자체는 이와 관련한 이해도가 부족했다.
대학에 대해서 깊이 알지 못하고, 산학협력의 중요성도 잘 모른다는 생각에 우려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지자체는 지자체가 가는 방향이 있고, 대학은 각 대학의 특성화에 맞춰 가는 방향이 있어 미스매치도 걱정했다.
다행히 이번 사업 선정에서는 지자체가 산학협력이나 대학의 특성을 이해하고 반영한 것 같다.
-이번 사업에서 주력하는 부분은 인공지능(AI)인가. ▲그렇다.
AI 인재 양성에 기여하는 것이 성균관대의 목표다.
다른 과제 대부분 영역에도 AI를 포함시켰다.
AI를 근간으로 산학협력의 혁신을 해보자는 것이다.
디지털 전환(DX)을 넘어 인공지능 전환(AIX)을 준비하는 산업체에 역량과 인재를 제공할 수 있는 역할을 할 것이다.
-서울의 비전과 성균관대 라이즈는 어떻게 부합하나. ▲서울은 이제 글로컬 시티가 됐다.
목표는 '글로컬 톱 시티'가 되는 것이다.
세계 최고의 인재가 모이고,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반면 대학의 경쟁률은 계속 하락하고 있다.
아시아는 중국 베이징, 상하이가 선도한다.
미래지향적인 대학을 육성하고 그 안에서 실력 있는 인재를 배출해 성과를 내면 서울시의 지향점에 닿을 수 있다고 본다.
대학의 인력 양성, 문화 역량 강화 등 대학의 역할을 할 때가 왔다.
-성균관대의 궁극적인 목표는. ▲서울시와 함께 서울을 대표하는 상징적인 대학이 되고 싶다.
100년 뒤에도 기억될 만한 대학으로 발전하는 것이다.
서울시 위상에 걸맞은 인재를 양성하고, 연구와 교육을 주도하겠다.
[에듀플러스]라이즈, 혁신의 길목에 서다최재붕 성균관대 라이즈사업단장 “10년간 다져온 산학협력 내공의 결과…서울 대표하는 대학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