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금융감독당국 감독 받도록 법안 의회 상정
BNPL 진입 장벽 높아져 시장 재편 촉진
영국에서 BNPL(Buy Now Pay Later) 규제를 2026년부터 시행하면서 시장 신뢰도가 높아지는 동시에 결제 수단이 제한되면서 시장 재편이 이뤄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주영민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원은 "BNPL 시장의 규제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영국이 소비자신용법(CCA)을 개정해 2026년부터 본격 시행을 앞두고 있다"고 밝혔다.
BNPL은 '선구매 후결제 방식' 줄임말이다.
2020년 영국을 비롯해 전 세계적으로 크게 성장했다.
영국에서 BNPL은 신용카드나 대출과 달리 규제의 예외로 분류했다.
소비자 위험, 미흡한 신용평가, 불투명한 환급 절차 등 규제 사각지대 지적이 나왔다.
영국은 2021년 2월 규제 권고를 시작으로 2024년 입법 초안 마련을 거쳐 CCA 개정안을 만들었다.
법안이 시행되면 BNPL 업체는 상환 능력 심사, 투명한 정보 제공, 신속한 환급 및 불만 처리 강화, 광고 및 영업 행위 규제를 받게 된다.
이번 규제로 BNPL 회사들의 부담이 늘고 소비자 접근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생계비 위기 상황에서 결제 수단이 줄어들고, 대형 사업자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돼 독과점 폐해가 생길 위험도 있다.
이번 규제가 은행을 중심으로 BNPL 시장을 재편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구 연구원은 "단기적으로 운영비용과 마진 압박이 발생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신용위험 관리 강화, 소비자 신뢰 향상이라는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은행은 이미 감독 당국(FCA) 인가, 상환 능력 심사 등 강화된 규제 요건을 이미 충족하고 있어 소비자 신뢰도가 높다.
결국 은행이 BNPL 상품을 제공하면 장기적으로 신용위험 관리 강화와 소비자 신뢰 향상 등 긍정적 효과를 기대한다.
BNPL 규제로 소비자 보호 강화···은행 신사업에 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