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공항 민간활주로 추진 속 충주는 물류공항 요구
"청주시, 특례시 추진에 한발 뺀 충북도에 '분통'"
국립국악원 분원, 국가정원 조성 등도 엇박자
"정치권 이해 관계 조정.중재자 역할 필요"
충북도 제공
다음 달 3일 치러지는 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충청북도와 일선 시군들도 앞다퉈 대선 공약 건의 과제를 쏟아내고 있다.
하지만 일부 지역 현안을 두고 내부 엇박자를 내면서 집안싸움으로 번질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9일 충북도 등에 따르면 도는 최근 98조 7천억 원 규모에 달하는 125건의 대선 공약 건의 과제를 확정했다.
이 가운데 단연 1순위는 '청주국제공항 민간항공기 전용 활주로 건설'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충주시도 현재 19전투비행단이 사용하는 중원비행장의 항공물류 허브공항 조성을 핵심 대선 공약으로 정치권에 건의하고 있다.
이처럼 지역의 역량을 결집해도 모자랄 판에 지역 내부에서부터 불협화음을 내고 있는 대선 공약 건의 과제는 이 뿐만이 아니다.
최근 '특례시 지정 기준 완화'를 최우선 공약으로 선정한 청주시는 정작 충북도가 건의 과제로 채택하지 않자 분통을 삭히고 있다.
또 도는 국립국악원 영동분원을 대선 건의 과제로 확정했지만 충주와 제천도 유치전에 뛰어든 상태이다.
국가정원 조성도 충주는 탄금공원을, 청주는 미호강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도는 청남대를 밀고 있어 자칫 자중지란으로 끝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이 밖에도 국립산림치유원과 국립 숲체원 유치, 2차 공공기관 이전, 국립교통재활병원 건립 등도 치열한 유치 경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여 언제든지 지역 간 갈등의 씨앗이 될 수 있는 사안들이다.
사정이 이렇자 일각에서는 지역 정치권의 사전 이해 관계 조정과 중재자 역할부터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충북도의 한 관계자는 "일선 시군과 기관 등과 사전 논의를 거쳐 역대 가장 많은 규모의 대선 건의 과제를 확정하는 과정에서 일부 시군 공약이 우선 순위에서 빠진 것들도 있을 수 있다"며 "다만 대선 과정에서 일선 시군이 제안한 건의 과제들도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조기 대선을 통해 그동안 역점적으로 추진해온 지역의 현안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역량 결집부터 시급해 보인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jebo@cbs.co.kr
카카오톡 :
@노컷뉴스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충북 대선공약 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