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요약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한미 사이 여러 현안 협의…관여 늘리기 위한 방미"
정상회담 이어 루비오 장관 방한도 무산…위성락 방미로 돌파구 찾나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관세협상, 정상회담 등 한미 간 현안에 대한 논의를 위해 6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미국 워싱턴DC로 출국하고 있다.
연합뉴스
관세 협상과 안보 문제 등 한미간 현안이 산적한 가운데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6일 2박 3일간의 방미 일정을 시작했다.
위 실장의 방미를 계기로 대미 외교 분야 과제 해결을 위한 물꼬가 트일지 주목된다.
위 실장은 이날 오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출국하며 기자들을 만나 "그동안 한미 사이에 통상과 안보 관련한 여러 현안이 협의돼왔다"며 "협의 국면이 중요한 상황으로 들어가고 있어 제 차원에서 관여를 늘리기 위해 방미하게 됐다"고 밝혔다.
앞서 미국 측이 제시한 상호관세 유예기한은 오는 8일이다.
지난달 G7정상회의 계기로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미정상회담을 갖고 이 문제를 비롯한 양국 현안을 논의할 예정이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급거 귀국으로 무산되면서 정상간 만남은 이뤄지지 못했다.
이후 미국이 제시한 시한을 단 이틀 앞두고 위 실장의 방미가 이뤄지는 것이다.
정부 측에서는 현재 워싱턴DC를 방문 중인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만나 유예 연장 방안을 논의하는 등 다양한 전략을 동원해 협상에 임하고 있다.
여 본부장은 현지에서 기자들과 만나 "모든 가능성이 열려 있다"며 "실리를 최대화하는 협상을 하겠다"고 밝혔다.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미국 USTR 대표 면담. 연합뉴스
현 시점에서 위 실장의 방미를 통해 카운터파트인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과의 대화가 이뤄질 경우 관세 협상 등에 돌파구를 찾을 수도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나온다.
한 외교소식통은 "최소한 방미를 통해 한미정상회담 일정 등 고위급 만남이 조율된다면 산적한 과제들에 대해 우리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효과적인 장이 마련되는 것"이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지난달 15일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직전 기자들에게 "(G7 회의에서 한미 정상회담이 이뤄진다면) 관세 문제 실무협상에 (긍정적 결과를 끌어내는) 동력을 제공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한 바 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과의 G7계기 정상회담 무산에 이어, 루비오 장관이 8일 방한해 현안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정상회담 일정을 조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지만 중동사태 여파로 루비오 장관의 방한 역시 취소됐다.
이러한 가운데 위 실장이 직접 미국을 찾아 직접 돌파구를 찾아보기로 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재명 대통령이 한미동맹을 강조하며 국익중심의 실용외교를 내세우고 있는만큼, 8일을 전후한 관세 협상 관련 진전 여부나 한미정상회담 성사 여부에 초반 이 정부 외교안보 정책의 안착이 걸린 것으로 보인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jebo@cbs.co.kr
카카오톡 :
@노컷뉴스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어깨 무거운 위성락 실장…관세 협상 등 물꼬 틀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