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예방 수칙. 전북도 제공
전북에서 올해 두 번째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가 발생했다.
전북특별자치도 보건환경연구원은 도내에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가 발생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확진자는 밭일 중 진드기에 물린 것으로 추정된다.
80대 A씨는 지난 1일 증상이 나타나 도내 의료기관을 방문했고 이후 SFTS가 의심돼 8일 보건환경연구원에 의뢰한 검사 결과, 최종 양성 판정을 받았다 A씨는 지난 4월에 발생한 환자에 이어 도내 2번째 SFTS 환자다.
현재 전국적으로는 총 7명의 SFTS 환자가 발생했다.
전북·경북 각 2명, 경기·경남·제주 각 1명이다.
경북의 확진자 1명은 사망했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바이러스를 보유한 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는 고위험 감염병으로, 잠복기(4~15일) 후 고열(38~40℃)이 수일간 지속되고 오심, 구토, 설사 등 소화기 증상이 동반된다.
혈소판과 백혈구 수치가 급감하며,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고 치사율이 18%에 달한다.
전경식 도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야외활동 이후 고열, 구토, 진드기 물림 흔적 등이 확인되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며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해 줄 것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전북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