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이탈리아 밀라노·롬바르디아와 협력 강화
K패션 기업들 밀라노 정기 팝업 등 진출 지원
서울시-롬바르디아주 우호 도시 협약 - 오세훈 서울시장과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주 아틸리오 폰타나 주지사가 4일(현지시간) 롬바르디아주 청사에서 우호 도시 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세계 패션 양대 산맥 중 하나인 이탈리아 밀라노와 ‘문화 동맹’을 맺는다.
이를 통해 서울시는 국내 패션 기업들의 해외 진출의 활로를 찾겠다는 계획이다.
4일(현지시간) 오후 오세훈 서울시장은 밀라노가 속해 있는아틸리오 폰타나 롬바르디아주지사를 만나 K-패션의 세계 진출 확대를 논의했다.
오 시장은 롬바르디아 주청사에서 아틸리오 폰타나 주지사를 만나 우호 도시 협약을 다시 한번 체결했다.
롬바르디아주는 금융, 디자인, 패션, 생명공학이 발달한 이탈리아의 경제수도로, 이탈리아 국민총생산(GDP)의 20%를 차지하고 있다.
서울시는 2017년 롬바르디아주와 우호도시 협정을 체결했지만 2020년 만료됐다.
오세훈, 밀라노시장 만나 뷰티·패션 협력 제안 - 오세훈 서울시장이 4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밀라노시청에서 주세페 살라 밀라노 시장과 면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오 시장은 밀라노 시장과 면담을 통해 패션·디자인 분야 협력 확대, 문화예술 교류, 관광 활성화 및 도시 브랜드 제고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서울시 제공
양 도시는 경제협력에 중점을 뒀던 기존 협약에 ▲문화공연 ▲문화유산 ▲전통문화 ▲영상미디어 ▲창조 및 디자인산업 ▲관광산업 등 문화 분야에 대한 내용을 추가했다.
협정식에서 오 시장은 “한국 패션 산업이 아시아의 대표적인 위치를 차지하고는 있지만, 세계적으로 보면 아직 갈 길이 멀다”면서 “이번 방문이 도시 간에 경제, (패션) 사업부분에 대한 깊이 있는 협력으로 이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폰타나 주지사는 “문화도 서울과 협력에서 굉장히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는 분야”라며 관심을 나타냈다.
앞서 밀라노시청에서 주세페 살라 밀라노시장을 만난 오 시장은 서울패션위크 참여 국내 브랜드의 밀라노 진출 지원을 요청함과 동시에. 밀라노 패션위크 참여 브랜드들이 서울패션위크 참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어떻겠냐고 제안하기도 했다.
이에 살라 밀라노시장은 “서울과 밀라노는 관광이나 패션 그리고 경제 개발에 협력을 도모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밀라노 도시먹거리 정책 협약 관련 아시아태평양 회의를 2017년 서울에서 주최할 수 있는지 묻고 싶다”며 협력에 관심을 나타냈다.
오 시장은 “서울과 밀라노시는 시너지 효과가 가능하다”면서 “먹거리는 현재 계속 주목 받고 있는 추세다.
2027년이 오기 전에 서울 방문을 해주셨으면 한다”고 화답했다.
한편 서울시는 국내 유망 브랜드의 현지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밀라노에서 정기적인 팝업 개최와 유명 쇼룸과의 협업도 추진한다.
서울-밀라노 ‘문화 동맹’… 오세훈 K패션 세계 진출 활로 뚫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