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친환경 정책 기조와 안 맞아
미포산단 안정적 전력 구상 차질
시 “올 연말까지 추가 지정 노력”
울산시가 기대를 모은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선정에서 뜻밖의 보류 결정을 받았다.
지난 5월 특구 후보지 지정과 관련해 브리핑하는 김두겸 울산시장. 부산일보DB
정부의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에서 부산은 선정됐지만 유력하게 거론된 울산은 ‘결정 보류’ 통보를 받으며 두 도시의 희비가 극명하게 엇갈렸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5일 에너지위원회를 열고 부산(강서)·경기(의왕)·제주·전남 4곳을 분산에너지 특구로 최종 지정했다.
울산은 명단에서 제외됐다.
울산은 올해 연말까지 추가 지정을 성사하겠다는 각오다.
예상치 못한 결과에 울산시는 당혹스러운 기색이 역력하다.
앞서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5월 울산과 부산, 제주 등 7곳을 최종 후보지로 선정했던 터라 기대감이 높았기 때문이다.
울산시가 계획한 ‘수요 유치형’ 특구는 미포국가산업단지 일원에서 SK MU(SK멀티유틸리티)의 300MW급 LNG/LPG 열병합발전소 전력을 한전망을 거치지 않고 산단 내 기존 17개 기업과 신규 수요처에 직접 공급(PPA)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특히, 울산시는 특구 지정을 통해 미포국가산업단지 내에 구축 중인 SK·아마존의 대규모(100MW급) AI 데이터센터에 안정적이고 저렴한 전력을 공급하려 했다.
AI와 반도체 등 전력을 많이 쓰는 첨단 산업의 유치 전략 전반에 제동이 걸린 셈이다.
울산시는 그간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을 입법 건의하고, 전국 최초로 분산에너지 지원센터도 발족했다.
조례 제정과 산학연 추진단 구성 등에도 전방위적 노력을 기울여왔다.
특히 103%(2024년 기준)에 달하는 전력 자립도와 2030년 303%까지 확충될 탄탄한 에너지 기반을 강점으로 내세웠다.
이처럼 총력전을 펼쳤음에도 ‘보류’ 통보를 받은 것이다.
울산시는 핵심 발전원인 LNG 열병합발전소가 정부의 탄소 중립 및 친환경 정책 기조와 제대로 부합하지 않는다는 점이 특구 지정에 발목을 잡은 것으로 본다.
그러나 한전을 거치지 않고 전력을 직거래하는 시스템이 거의 구축된 상태여서 추가 지정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지난 5월 최종 후보지에 선정된 이후 최종 지정을 믿어 의심치 않았는데 이런 결과를 받아 당혹스럽다”라며 “LNG 발전소의 친환경성과 AI 데이터센터 유치라는 시너지 효과를 보완·강조해, 차기 위원회를 앞두고 위원들을 상대로 적극 설득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결정 보류 통보에 당혹… 울산, AI·반도체 산업 유치 전략 제동 [분산에너지 특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