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원, 신품종 활성화 위한 간담회 개최
감초 활용도 높아지지만 대부분 수입 의존
재배 안정성 높고 수량많은 국산품종 개발
한국농업기술진흥원(농진원)은 11월 4일, 평택시농업기술센터에서 감초 신품종 활성화를 위한 민관협력 간담회를 개최했다.
농진원 제공 한국농업기술진흥원(농진원)은 11월 4일, 평택시농업기술센터에서 감초 신품종 활성화를 위한 민관협력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과 농진원, 평택시농업기술센터가 공동으로 주최했다.
농촌진흥청, 지자체 관계자, 제약·가공 산업체, 대학 연구진, 재배 농가 등 약 40명이 참석했다.
감초는 대표적인 약용작물로, 오랜 기간 한약재와 건강기능식품 원료로 활용됐다.
최근에는 제약·화장품 산업에서도 활용도가 높아지며 수요가 계속 늘고 있지만 국내 소비량의 대부분이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국산화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에 따라 2013년 개발된 국산 감초 신품종 ‘원감’과 ‘다감’이 2023년 ‘대한민국약전’에 등재되면서, 국내 제약 원료로 정식 활용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원감’은 재배 안정성이 높고, ‘다감’은 수량성이 우수해 산업적 활용도가 높다.
이번 등재는 국산 감초의 법적·제도적 기반을 마련한 첫 사례로, 수입 의존 구조를 전환할 전환점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번 간담회는 이러한 신품종 보급 확대와 산업화 추진을 위해 마련됐다.
참석자들은 신품종의 활용성, 지역별 산업화 가능성, 유통 체계 구축 방안 등을 논의하며 민·관·산·학이 함께하는 발전 방향을 모색했다.
간담회 주제 발표에서는 △ 원예원 이정훈 연구관의 ‘감초 신품종 원감·다감·만감의 특성과 시장 동향’ △ 전북대 진종식 교수의 ‘감초의 효능과 이용 확대 방안’ △ 농진원 정영민 팀장의 ‘약용작물 재배 동향 및 보급 확대 계획’이 발표됐다.
이어 스마트팜 기술을 활용한 감초 재배 방안, 제천·평택·금산 지역 산업화 전략 등이 소개됐다.
종합 토론에서는 감초 산업의 발전 방향, 민관 협력체계 구축, 정책 지원 과제 등이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농진원 양민호 종자사업본부장은 “농진원은 올해 감초 신품종의 조직 배양묘 실증 재배를 진행했으며 내년부터 본격적인 보급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라며 “이를 통해 국산 감초의 안정적 보급 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약용작물 감초, 국산 신품종 개발…“내년부터 본격 보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