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극적 행정·시민 참여로 ‘윈윈’
상권 부활 세계 6개 도시 취재
수도권에 인구와 경제활동이 집중된 도쿄 신주쿠 시가지. 변은샘 기자 iamsam@
인구 감소와 경기 침체로 텅 빈 점포가 늘어가는 것은 부산만의 고민이 아니다.
세계 주요 도시들 역시 쇠퇴한 상권과 떠나는 주민 문제에 맞닥뜨렸다.
그러나 어떤 도시는 침체를 반전시켜 활력을 되찾는 데 성공했다.
그 차이를 가른 것은 ‘지역이 스스로 움직일 수 있도록 돕는 행정’과 ‘주민·소상공인의 자발적 참여’였다.
〈부산일보〉는 지난 8월부터 일본, 포르투갈, 벨기에, 미국 등 4개국 6개 도시를 찾아 지역 기업과 상권 부활의 현장 모델을 취재했다.
이들 도시는 인구 유출과 지역 경기 침체라는 공통 현상 속에서도 지역 도시가 자생력을 키울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 각자의 생존 활로를 모색했다.
일본 북단 항구도시 하코다테는 도시의 약점을 기회로 전환했다.
인구 유출이 심했던 이 도시는 ‘일하면서 체류하는’ 워케이션 정책을 도입해 외부 청년과 창작자를 끌어들였다.
장기 체류자가 늘면서 빈 점포에 사람이 채워지며 지역 상권도 활성화됐다.
벨기에 겐트시는 소상공인들이 직접 참여해 상권을 활성화하는 ‘퓨어겐트’(PuurGent) 정책을 운영 중이다.
시가 설립한 전담 기관이 중심이 되어 상인과 외식업주, 지역 단체가 함께 도시 상권을 관리한다.
축제·세일 행사 등 공동 마케팅을 추진하고, 상점 리모델링과 거리 환경 개선을 지원해 지역의 활력을 높이고 있다.
상인들이 직접 상권을 가꾸는 참여형 모델로, 지역 상권의 자생력을 키운 사례로 평가된다.
오래된 우유 공장이 퇴락한 도심의 상징물 같았던 미국 올랜도의 밀크디스트릭트는 시의 상권 활성화 프로젝트의 지원과 지역 소상공인들의 자발적 참여가 맞물려 올랜도의 대표적인 도시 재생 사례로 떠올랐다.
부산 역시 지금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
인구 감소와 지역 경제 둔화 속에서 상권 침체는 단순한 소비 감소의 문제가 아니다.
지역 공동체가 무너지는 신호다.
상권을 다시 살리는 일은 단순히 가게 문을 여는 문제가 아니라, 지역에 머물 이유를 만드는 것이다.
세계 도시에서 확인한 전략과 현장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부산이 적용할 수 있는 기업·시민 참여형 지역 상권 활성화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역을 살리는 길은, 지역이 스스로 살아 움직일 수 있도록 돕는 것에서 시작된다.
민관 힘 합치니, 쇠락 상권이 지역 핫플로 떴다 [도시 부활, 세계에서 길 찾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