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 단일화 협상 결렬…'여론조사 역선택 방지' 이견
'단일 후보 선호도' 여론조사 종료...내부적으로 결론만 공유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오른쪽)와 무소속 한덕수 대선 예비후보가 7일 서울 종로구의 한 식당에서 후보 단일화 관련 회동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의 대리인 단일화 협상이 여론조사 방식에 대한 이견으로 20여분만에 결렬됐다.
두 후보 측 관계자는 9일 오후 8시 30분부터 국회 본청에서 이양수 사무총장 주재로 비공개 단일화 협상에 돌입했지만 김 후보 측 대리인인 김재원 비서실장이 협상장을 이탈하면서 중단됐다.
두 후보 측은 3000명을 대상으로 한 자동응답(ARS) 여론조사 실시에는 합의했다.
하지만 김 후보 측이 역선택 방지 조항이 없는 일반 여론조사를 주장한 반면 한 후보 측은 이에 이견을 보이면서 협상이 난항을 겪었다.
김 비서실장은 정당 지지여부와 관계없는 100% 국민여론조사 방식을 주장했다.
김 비서실장은 "상대는 무소속 후보다.
무소속 후보와 단일화 하는 것 자체가 역사적으로 처음"이라며 "그에 대해서 (투표시) 당원들까지 동원하는 건 잘못된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한 후보 측은 '단일화 방식과 절차를 당에 일임했다'고 했기 때문에 아예 발언권이 없다고 생각한다.
협상의 당사자로 온다는 것도 우스운 일"이라며 "당과 김 후보 측에서 조율해서 단일화 방식과 절차를 정하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강조했다.
반면 한 후보측 손영택 전 총리실 비서실장은 "저희가 공정하고 합리적 방법이라 생각한 김문수 후보가 경선에서 승리한 방식을 제안했는데 (김 후보 측이) 그걸 받지 않아서 결렬됐다"고 말했다.
여론조사에 역선택방지조항을 적용해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만을 대상으로 국민여론조사를 합산하자는 주장이다.
역선택방지조항은 여론조사에서 타 정당 지지자들이 의도적으로 상대 당의 약체 후보를 선택해 결과를 왜곡하는 것을 막기 위한 장치다.
전체 유권자 또는 타 정당 지지자까지 포함한 조사에서 결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여론조사를 보면 김 후보는 국민 전체를 기준으로 한 조사에서 우세했고 한 후보는 당원 대상 조사에서 우위를 나타냈다.
한편 국민의힘은 이틀에 걸쳐 김 후보와 한덕수 무소속 예비후보 중 단일 후보로 적합한 인물을 묻는 당원 투표 및 일반 국민 대상 여론조사를 실시해 마무리했다.
다만 공직선거법 상 결과 공표가 금지돼 있어 내부적으로 대략적인 결론만 공유한다는 방침이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이날 중 비상대책위원회와 경선 선거관리위원회를 열어 후보 교체의 건을 의결하고 한 후보에 대한 입당 및 피선거권 부여 절차를 마무리하는 방안도 내부적으로 검토 중이다.
이는 전국위원회 소집 일정에 맞춰 역산해 잡힌 일정으로, 후보 교체를 공식적으로 추진하는 절차에 해당한다.
김문수 ‘전 국민’ vs 한덕수 ‘당원’...역선택 방지룰 두고 협상 결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