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 60개소 추가 지정
거동이 불편하신 어르신이 병원에 가지 않고도 집 안에서 필요한 의료서비스와 지역사회 돌봄서비스까지 모두 이용할 수 있는 '장기요양 재택의료센터'가 전국에 195곳으로 늘어난다.
지난해 10월 광주광역시 북구에 거주하는 한 80대 어르신이 의료진에게 장기요양 재택의료 서비스를 받고 있다.
강진형 기자 보건복지부는 장기요양 재택의료센터 시범사업 참여기관 공모를 통해 총 60개 의료기관을 장기요양 재택의료센터로 추가 지정했다고 6일 밝혔다.
장기요양 재택의료센터는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로 구성된 팀이 장기요양보험 수급자 가정을 방문해 건강 상태와 주거 환경, 치료 욕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치료 계획을 세운 뒤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필요한 주거·영양·돌봄 등 필요한 지역사회 자원을 연계해 주는 의료기관이다.
의사가 월 1회, 간호사가 월 2회 이상 방문하며, 이를 통해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들이 요양시설에 입소하거나 요양병원 등에 입원하지 않고도 집에서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환자의 와상 상태, 만성질환 등 질병 관리와 건강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정기적인 교육·상담도 제공한다.
지난 2022년 12월 총 28곳으로 시작한 장기요양 재택의료센터는 현재 135곳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번 추가 지정을 통해 2년 반 만에 195곳으로 증가했다.
장기요양 재택의료센터가 있는 지방자치단체도 총 113개 시·군·구로 확대됐다.
특히 그동안 장기요양 재택의료센터가 없었던 대구 서구, 강원 강릉시·영월군, 충남 서산시 등에서 지방의료원 4곳이 이번 공모를 통해 신규 지정되면서 장기요양 재택의료센터로 지정된 지방의료원은 총 17곳으로 늘었다.
복지부는 지방의료원의 참여가 늘어남에 따라 기존 의원급에서 다루기 어려운 중증환자에게 더 적합한 재택의료 서비스를 지역 내에서 제공하고, 원내 전문 의료인력을 활용해 환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임을기 복지부 노인정책관은 "내년 돌봄통합지원법 시행 등에 따른 지역사회의 의료·요양 연계 인프라 확대를 위해 앞으로도 장기요양 재택의료센터 참여 지역과 의료기관을 지속해서 늘려갈 계획"이라며 "돌봄이 필요하신 어르신들이 사시던 곳에서 의료·돌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역할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집에서 통합 돌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