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 /사진 제공=금융투자협회
박정림 전 KB증권 대표가 차기 한국금융투자협회장 선거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후보 경쟁 구도가 급변하고 있다.
유력 경쟁자가 빠지며 서유석 현 회장의 연임 가능성이 부상했지만 일각에서는 "새 리더십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5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박 전 대표는 최근 "이번 금투협 회장 선거에는 나서지 않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KB증권 공동대표 시절 자산관리(Wealth Management, WM) 부문 강화와 조직 쇄신을 추진하며 업계 내 입지를 굳혔다.
업계에서는 첫 여성 협회장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컸던 만큼 불출마 선언이 선거 판세를 흔들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박 전 대표의 불출마로 선거 구도는 서 회장을 중심으로 재편되는 분위기다.
서 회장은 지난해 취임 이후 협회 조직 안정과 정책 대응력을 강화하며 자본시장 진흥위원회 설립, 중소형사 지원 확대, 토큰증권(Security Token Offering, STO) 제도화 논의 등을 이끌었다.
업계에서는 행정 경험과 정책 이해도를 높이 평가하면서도 일부에서는 "협회 운영이 다시 안정 위주로 기울 수 있다"는 신중한 해석도 나온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서유석 회장이 연임에 나설 경우 협회의 정책 연속성은 확보되겠지만 시장 변화에 맞는 리더십 전환 요구도 적지 않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회원사 간 이해관계가 복잡한 만큼 단일 후보 구도로 끝나긴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 전 대표의 이탈로 대형 증권사 출신 후보군이 사실상 사라지면서 중견 증권사와 자산운용업계 인사들이 출마를 검토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대형사 중심의 회장 선출 구조를 이번에 바꿔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한 중소형사 임원은 "협회가 초대형사 위주로 운영돼 왔다"며 "회원사 대표성을 강화할 인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누가 차기 회장에 오르더라도 과제는 막중하다.
STO 제도 정비, 밸류업(Value-Up) 정책 후속, 발행어음(Short-term Note) 및 통합자산관리(Integrated Managed Account, IMA) 제도 개선, 투자자 보호 강화 등 현안이 쌓여 있다.
정부의 자본시장 '3.0 라운드(Capital Market 3.0 Round)' 정책이 본격화되면서 협회가 정책 파트너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업계에서는 "협회장이 회원사 이해를 조율하는 수준을 넘어 정부 정책과 시장 요구를 함께 반영할 수 있는 '정책형 리더십(Policy-driven Leadership)'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한 운용사 관계자는 "정책 감각과 소통 능력을 겸비하지 못하면 협회의 존재감은 더 약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금투협은 이달 중 회장 후보 등록을 공고하고, 내년 초 정기총회에서 제7대 회장을 선출할 예정이다.
업계 안팎에서는 이번 선거를 "단순한 자리 경쟁이 아니라 자본시장 리더십의 방향을 결정하는 분기점"으로 본다.
또 다른 증권사 관계자는 "협회가 어떤 방향으로 목소리를 낼지 그리고 시장과 정책을 잇는 리더십이 누가 될지가 최대 관전 포인트"라고 전했다.
금투협회장 선거, 박정림 불출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