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마포구 LG헬로비전 사옥 /사진 제공=LG헬로비전
LG헬로비전이 일회성 매출이 사라진 충격에도 불구하고 수익성을 크게 개선했다.
지난해 대규모 자산 손상 인식에 따른 감가상각비 부담 완화가 결정적이다.
매출은 렌탈 사업의 폭발적 성장이 방송과 알뜰폰(MVNO) 등 핵심 사업의 부진을 상쇄하는 흐름을 보인다.
5일 LG헬로비전은 올해 3분기 연결기준 잠정 실적으로 영업수익(매출) 2985억원, 영업이익 90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당기순이익은 20억원으로 집계됐다.
영업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7.7% 줄었다.
반면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2.8% 늘었다.
매출 하락은 교육청 스마트 단말 판매 사업이 종료되며 관련 매출이 증발한 영향이 크다.
실제로 회사의 기타사업 매출은 연결 기준 지난해 3분기 354억원에서 올 3분기 4억원으로 급감했다.
영업이익이 급증은 비용 구조가 크게 개선된 덕분이다.
지난해 대규모 유무형자산 손상차손을 인식한 기저효과로 올해 3분기 연결 감가상각비는 전년 동기 대비 총 84억원가량 줄었다.
여기에 단말기 매출이 줄면서 연동되는 상품매출원가 역시 전년 동기보다 41.2%(260억원) 급감한 것도 이익 방어에 힘을 보탰다.
LG헬로비전의 2025년 3분기 연결 손익계산서 /표=LG헬로비전 본업에 해당하는 홈사업 부문 전체 매출은 245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8% 성장했다.
특히 렌탈 사업은 여럼 계절 가전 수요에 힘입어 매출이 49.2% 늘었다.
반면 다른 핵심 사업들은 뒷걸음질 쳤다.
MVNO 사업 매출(388억원)은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했다.
핵심인 방송 사업 매출(1227억원) 역시 업계 침체 속에서 3.8% 역성장했다.
LG헬로비전 관계자는 "방송과 통신 업계의 침체 속에서도 경영 효율화를 강화하고 있다"며 "MVNO는 직영몰 확대와 합리적 유심 요금제를 선보이고 미디어 사업은 콘텐츠 경쟁력 확보를 통해 유료방송의 가치를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민형 LG헬로비전 상무(CFO)는 "방송·통신 시장이 어려운 상황에서 경영 효율화와 수익성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며 "변화의 시기 속에서도 핵심 사업에 집중하며 경영 정상화를 위한 기반을 다져가겠다"고 밝혔다.
LG헬로비전, 3Q 감가비 부담 덜고 수익성 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