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의자 신분으로 내란 특검 조사를 받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29일 서초구 서울고검 청사를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사진공동취재단)
윤석열 전 대통령측이 1일 내란특검에 출석할 수 없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특검은 소환 불응으로 간주하겠다고 말했다.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하는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팀은 30일 윤석열 전 대통령 측의 기일 변경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밝혔다.
  당초 통보한 1일에 나오지 않는다면 이번 주 중 다른 날짜를 지정해 다시 출석요구 통보를 하기로 했다.
박지영 특검보는 전날 브리핑에서 "내부 논의 결과, 기일 변경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기로 했고, 이를 변호인에게도 통지했다"고 "출석에 불응할 경우 즉시 이번 주 중 특정 일자와 시점을 지정해 다시 소환을 통보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박 특검보는 "만약 그때도 출석에 응하지 않으면 형사소송법이 정한 마지막 단계의 조치를 취할 것"이라며 "출석 후에도 법과 사회 인식에 반하는 조사방해 행위로 평가되는 행위가 있을 경우 이에 대해서도 형소법이 정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윤 전 대통령이 재통보한 출석 일정에도 불응할 경우 체포영장을 청구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윤 전 대통령 법률대리인단은 전날 입장을 내고 "특검이 일방적으로 결정하여 고지한 7월 1일의 출석은 불가하다"고 밝혔다.
대리인단은 특검이 지난 28일 조사가 장기간 진행돼 윤 전 대통령이 29일 새벽에 귀가하였음에도 충분한 시간적 여유 없이 즉시 재소환을 통보했다고 지적했다.
대리인단은 앞서 7월 3일 이후로 기일을 변경해달라고 요청한데 이어 다시 5일 이후로 변경을 요청했다.
대리인단은 "3일 진행될 형사 공판은 하루 종일 증인신문이 진행될 예정이므로 건강상의 문제로 인해 4일 휴식 후, 5일 또는 6일에 출석할 수 있다는 요청서를 제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음달 3일은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부장 지귀연) 심리로 윤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등 혐의 사건 9차 공판이 열린다.
특검 팀은 이날 출석하지 않으면 소환 불응으로 간주하고 출석 일자를 다시 통보할 방침이다.
오는 3일 9차 공판을 피해 4일이나 5일 출석을 통보할 것으로 예상된다.
윤 전 대통령 측이 전날 '7월 3일 이후로 출석 일자를 조정해 달라'며 기일 변경을 요청했고, 특검팀은 이를 일부 수용해 7월 1일 오전 9시에 출석해 달라고 재통지했다.
윤 전 대통령 측은 전날에는 출석 일자를 7월 5일 이후로 연기해달라는 의견서를 특검에 다시 제출했다.
윤석열 측, "오늘 출석 불가"...특검 "소환 불응 간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