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대사 기반 비만치료 전략에 대해 강의하는 미국 미시간대 랜디 실리(Randy J. Seeley) 교수./사진=고려대 의료원
고려대 약물표적발굴연구소가 최근 개소 기념 심포지엄을 성황리에 마쳤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대사 질환 치료 연구 및 약물 표적 발굴·개발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연구를 선도하는 국내외 석학들이 강연을 펼쳤다.
미국 미시간대 랜디 실리(Randy J. Seeley) 교수, 일본 도쿄대 히로아키 스가(Hiroaki Suga) 교수, 연세대 김성훈 교수가 ▲에너지대사 기반 비만 치료 전략 ▲비천연 거대고리 펩타이드 설계 ▲단백질 번역효소에서 영감을 받은 신약 발굴 등 최신 연구 성과와 향후 발전 방향을 공유했다.
고려대 약물표적발굴연구소 김동훈 소장(고대의대 약리학교실 주임교수)은 “기초의학 연구 성과를 혁신적인 다학제 융합연구를 통해 약물 표적으로 발굴하고, 질병 극복에 기여할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했다.
고려대 편성범 의과대학장은 “이번 심포지엄이 학문 간 소통의 장이 되어 의료 혁신을 앞당기는 중추적인 연구소로 발전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약물표적발굴연구소는 미국국립보건원(NIH)가 지원하는 미시간대 미시간 영양비만센터와 MOU를 체결했다.
연구소는 기초의학, 화학생물학, 생물정보학, 오가노이드, 유전자 편집 등 첨단 기술을 융합해 질환 진단과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약물 표적 발굴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고려대 약물표적발굴연구소, 개소 기념 심포지엄 성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