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감세 드라이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12개국에 상호관세율을 적시한 서한을 보낼 것이라고 4일(현지시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는 다음달 1일부터 부과될 것이라면서 각국에 책정된 상호관세율은 “10~20
%
수준에서 60~70
%
수준이 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서한은 이날부터 발송되며 며칠 동안 추가로 발송된다.
블룸버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수치가 확정된다면 최고 상호관세율의 경우 지난 4월초 발표때보다 높은 수준일 것”이라고 전했다.
미국이 압박 강도를 높이는 것은 관세 부과의 근거로 제시하는 무역적자가 5월 들어 다시 커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날 미 상무부에 따르면 올해 5월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가 715억 달러로, 4월보다 113억 달러(18.7
%
) 증가했다.
한국을 상대로 한 무역적자 폭은 지난달 38억 달러 60억 달러로 확대했다.
반면 중국과의 교역에서 미국의 무역적자는 139억 달러로 2020년 3월(117억 달러) 이후 5년 만에 가장 적은 수준을 기록했다.
최근 무역 합의에 성공한 베트남을 상대로 한 무역적자는 147억 달러로 중국보다 많았다.
미국과 관세 협상을 마무리하지 못한 한국 정부는 비상이 걸렸다.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이날 밤 급히 미국을 찾아가 협상에 나선다.
상호관세 유예시한(8일) 앞두고 최악의 경우 상호관세율이 적힌 트럼프 대통령의 서한을 받고, 협상을 이어가야 할 수 있다.
여 본부장은 “현 상황에서는 우리가 무리하게 시한에 쫓기기보다는 좀 더 시간을 갖고 (협상의) 내실을 기하는 것이 국익에 가장 부합하는 결과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4일부터 관세율 통보 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