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엔비디아·한국기업 기술 협력
전 세계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의 90%를 장악한 엔비디아가 한국 정부와 삼성·SK·현대차·네이버에 자사의 최신 AI칩 26만 장을 공급하기로 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31일 “지금이 한국에 특히 기회가 될 수 있는 시기”라며 “한국은 소프트웨어, 제조업, AI 역량이 있어 막대한 영향과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황 CEO는 이날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APEC CEO 서밋 특별세션에서 “세계적으로 3가지 기본 핵심 기술을 가진 나라가 몇이나 되나”라며 이처럼 짚었다.
그러면서 그는 “소프트웨어와 제조 역량을 결합하면 로보틱스의 활용 기회가 많아지고 이게 피지컬AI의 차세대 모델”이라며 “전체 공장이 디지털화되고 있고 수퍼컴퓨터가 구축되고 있다.
기술 기업과 손잡고 로보틱한 공장을 만들려고 한다”고 소개했다.
그는 “공장 전체가 로봇으로 구동되고 로봇이 인간과 함께 구동하는 것, 로봇이 로봇을 조작하고 물건을 생산하는 게 바로 AI의 미래”라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황 CEO를 APEC 정상회의 개최 장소인 경주 화백 컨벤션센터에서 만나 “대한민국은 ‘AI 3대 강국’과 ‘AI 기본사회’를 (목표로 삼아) 기술 개발과 인프라 확충에 힘쓰고 있다”며 “엔비디아와 한국 기업 간 긴밀한 협업은 글로벌 협력의 대표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은 AI와 관련해 ‘풀 스택’(전 단계 공정)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며 기업과의 적극적 협력을 요청했다.
이에 황 CEO는 “(한국의 AI 산업 발전) 여정에 엔비디아가 함께할 것”이라며 “AI 인프라 구축, 인재 및 스타트업 육성, 자율주행 로봇 등 피지컬 AI를 포함하는 여러 측면에서 국내 기업과 실질적 협력을 적극 확대하겠다”고 답했다.
앞서 엔비디아는 최신 AI 반도체 아키텍처(설계 기반)인 블랙웰 GPU를 한국 정부에 5만 장, 삼성·SK·현대차에 각각 5만 장, 그리고 네이버클라우드에 6만 장을 공급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 한국에 풀린 ‘품귀’ GPU … 네이버클라우드에 6만장, 정부에도 5만장 공급 그래픽=이윤채 기자 lee.yoonchae@joongang.co.kr 공급 대상 GPU로는 GB200, RTX6000 등이 꼽히는데, 구매 총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황 CEO는 이날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앞으로 26만 장의 엔비디아 그래픽저장장치(GPU)가 한국에 도입될 예정”이라며 “이로써 한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AI 인프라 역량을 갖춘 국가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한국이 이러한 인프라를 갖추게 되면 해외 기업이 한국 내에서 AI를 운영하도록 유치할 수 있을 것”이라며 “AI는 물리적 제약이 없기 때문에 한국은 아시아, 더 나아가 세계 주요 AI 허브 중 하나로 성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엔비디아 블랙웰은 이전 세대인 호퍼와 비교해 연산 효율을 크게 높여 대규모 언어 모델(LLM) 학습과 추론에 최적화된 아키텍처다.
전 세계에서 앞다퉈 확보하려는 핵심 AI 칩으로 엔비디아가 단일 국가에 26만 장 분량을 공급하는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이번 협력을 계기로 향후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의 고대역폭메모리(HBM) 공급 규모도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황 CEO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함께 전날 서울 삼성역 인근 깐부치킨 매장에서 깜짝 ‘치맥 회동’을 벌이며 AI 협력 의지를 보였다.
엔비디아는 이날 구체적인 협력 방안도 발표했다.
우선 삼성전자와는 ‘반도체 AI 팩토리’를 설립해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고 반도체 생산 효율을 강화할 계획이다.
가정용 로봇 연구도 협력한다.
SK와도 반도체 연구개발(R&D)과 생산을 위한 AI 팩토리를 설계한다.
또 SK텔레콤과는 RTX PRO 6000 블랙웰 GPU를 기반으로 한 국내 산업용 클라우드 개발을 협력할 예정이다.
현대차와는 약 30억 달러(약 4조원)를 공동 투자해 국가 피지컬 AI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엔비디아 AI 기술센터와 현대차 물리 AI 응용센터를 설립할 계획이다.
네이버 클라우드와는 조선·보안 등 산업 특화 피지컬 AI 모델 개발을 협력한다.
반도체 경쟁 관계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모두 GPU를 공급하는 데 대해 황 CEO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모두 놀라운 기술력을 가지고 있다.
한쪽(SK하이닉스)은 특정 분야에 더 집중적이고, 다른 쪽(삼성전자)은 보다 다각화돼 있다”며 “우리는 두 회사 모두와 성공적으로 협력 중이며, 굳이 하나를 선택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아울러 엔비디아는 과기정통부와 한국형 LLM 개발 프로젝트에서도 협력한다.
또 AI 네이티브 6G 무선 네트워크 개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과의 국가 수퍼컴퓨터 ‘한강’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양자 컴퓨팅 연구 센터 설립도 협력한다.
“한국에 GPU 26만장”…젠슨 황, AI동맹 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