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정책세미나 개최, 돌봄통합지원법 시행 앞두고, 지역사회 역할 모색
울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회장 오세걸)는 11월 4일(화) 울산시의회 3층 대 회의실에서 「2025 정책세미나 : 돌봄통합지원법 시행을 앞두고 지역사회 의 과제」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울산시사회복지협의회는 사회복지사업법에 근거하여 2000년 1월 설립 운영 중이며, 사회복지 영역의 확대와 빠른 시대의 변화에 발맞추어 저소득 대상자 부터 울산시민 전체의 복지 증진을 위한 폭넓은 사업을 기획하는 사회복지 법인이다.
이번 세미나는 사회복지분야별 직능단체의 위원으로 구성된 ‘정책조정위원회 (사회복지협의회 내(內) 위원회)’에서 현재 복지 현장의 이슈에 대한 논의과정을 통해 주제를 선정하였다고 한다.
2026년 3월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 지원에 관한 법률이 시행을 앞두고 있다.
이 법률은 노쇠, 장애, 질병, 사고 등으로 일상생활 수행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이 살던 곳에서 계속하여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의료.요양 등 돌봄 지원을 지역사회에서 통합.연계 하여 제공하기 위해 제정된 법이다.
이번 세미나는 돌봄통합지원법의 주요 내용과 제도적 변화, 지자체의 돌봄 전달체계 구축 방안, 민관 협력 및 지역사회 통합돌봄 실현 전략 등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기조발제는 백석대학교 서동민 교수가 ‘돌봄통합지원법의 시행 의미와 현장의 과제’를 주제로 발표한다.
그리고 광주광역시 광산구청 나성국 과장은 ‘광주 에서 만들고 있는 돌봄혁신 사례’를 중심으로 발표한다.
이어지는 토론 세션에서는 울산광역시복지가족진흥사회서비스지원의 박상미 박사, 만덕종합사회복지관 정신모 관장, 남부종합사회복지관 최정수 관장, (사)울산시민건강연구원 이승진 책임연구원 이 참여해 현장의 목소리와 실천 전략을 공유하였다.
이번 세미나는 돌봄통합지원법 시행을 앞두고 지자체의 역할을 구체화하고, 지역 단위 돌봄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사회복지협의회는 “돌봄통합지원법은 국민 누구나 필요한 돌봄을 적시에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국가가 마련한 복지 제도의 큰 전환점이라며, 이를 위해 복지현장과 지자체가 협력하여 지역 수요에 필요한 체계를 만들어 가야 한다”고 전했다.
2025 정책세미나 개최, 돌봄통합지원법 시행 앞두고, 지역사회 역할 모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