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인천해양경찰서에서 고 이재석 경사의 영결식이 엄수되고 있다.
뉴스1 갯벌에 고립된 외국인에게 구명조끼를 벗어줬다가 순직한 고 이재석 경사의 동료들이 “해양경찰 내부에서 진실을 은폐하려는 시도가 있었다”고 폭로했다.
상급자의 미비한 대응, 2인 1조 근무 원칙 위반 등을 감추려 했다는 의혹이다.
정부는 진상 조사를 통해 책임 소재와 은폐 경위를 철저히 규명해야 한다.
사고 당시 이 경사와 함께 당직 근무를 하던 인천해경 영흥파출소 소속 해양경찰관 4명은 15일 기자회견을 열어 “서장과 파출소장으로부터 아무 말도 하지 말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밝혔다.
상부에서 “유족을 만나면 눈물만 흘리라”거나 “이 경사를 영웅으로 만들어야 하니 함구하라”는 얘기가 있었다는 것이다.
이 경사 순직이 부실 대응에서 비롯됐다는 주장도 이어졌다.
사고 당일엔 팀장, 이 경사, 다른 팀원 4명(회견 참석자) 등 6명이 근무했는데, 팀장은 이 경사를 제외한 나머지 근무자에게 오전 3시까지 휴식 지시를 내렸다.
오전 2시 7분 중국인이 갯벌에 고립됐다는 신고가 들어오자 이 경사는 혼자 출동했다가 사고를 당했다.
팀장은 다른 근무자를 소집해 이 경사를 지원하지도 않았고, 다른 근무자에게 상황을 공유하지도 않았다고 한다.
2인 1조 근무 원칙이 지켜졌거나 상황 전파가 빨리 이뤄졌더라면 이 경사가 변을 당하지 않을 수도 있었다.
위계질서가 강한 해경 조직 특성을 감안하면 팀장을 제외한 모든 근무자가 한목소리로 주장하는 이 의혹을 허투루 처리해선 안 된다.
국민 생명을 보호하는 해경 구조 업무가 이렇게나 허술한 체계에 따라 이뤄졌다니, 마땅히 엄중한 책임 추궁이 뒤따라야 한다.
이재명 대통령은 관련 의혹 조사를 외부 독립기구에 맡기라고 지시했다.
해경 간부가 진상을 숨기려 했다는 의혹이 사실인지를 철저히 가려 책임을 물어야 한다.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은폐 의혹으로 전직 청장이 재판을 받고 있는 와중에, 또다시 해경에서 진상 은폐 의혹이 제기된 상황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사건의 실체를 고의로 가리는 것은 이 경사를 영웅으로 만드는 게 아니라 그 숭고한 희생의 가치를 짓밟는 행위일 뿐이다.
[사설] “이재석 경사 사망 경위 은폐”… 정부, 진상·책임 밝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