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으로 식품매장 위생을 관리하는 아이디어가 ‘2025년 식의약 공공데이터 분석·활용 경진대회’ 최우수작으로 선정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인공지능(AI)으로 식품매장의 위생을 점검하고 백신 안전을 관리하는 등의 아이디어가 식의약 분야 공공데이터를 우수하게 활용한 사례로 선정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25년 식의약 공공데이터 분석·활용 경진대회’ 우수작 5건을 선정·시상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경진대회는 식약처가 개방한 공공데이터와 AI 기술을 활용해 개발된 제품 및 서비스를 대상으로 진행했다.
지난 4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접수된 120건의 응모작 대상으로 전문가 심사, 국민 투표, 발표 심사가 진행돼 최종 5건이 선정됐다.
최우수상 1건, 우수상 2건, 장려상 2건 등 5건이다.
상금은 각 500만원, 250만원, 100만원이다.
최우수상은 식품매장 맞춤형 AI 안전 점검 솔루션인 ‘아울러’가 선정됐다.
아울러는 AI를 이용해 음식점 등 식품매장 내부 사진을 촬영하고 위생 상태를 진단·분석하는 솔루션이다.
영업자가 위생관리 사항을 준수했는지, 개선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지 알려준다.
영업자의 매장 위생 관리와 소비자의 안전한 식품 소비를 돕는 서비스다.
아울러는 식약처가 제공하는 과태료 부과 기준, 행정 처분 결과, 스마트 해썹(HACCP) 평가항목 정보 등 공공데이터에 AI 기술을 접목해 개발됐다.
우수상은 디지털 통합 백신 접종관리 시스템 ‘백신안전체크’와 양방향 임상시험 통합 플랫폼 ‘트라이 올(Try All)’이 선정됐다.
백신안전체크는 의료기관에서 제공하는 백신 용기나 주사기에 부착된 의료기기 표준코드(UDI)를 스캔해 백신 허가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다.
백신을 접종 받은 국민은 접종 이력, 이상반응 분석 등 사후관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UDI, 의료기기 이상사례 정보, 의약품 제품 허가 정보 등의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개발된 서비스다.
트라이 올은 임상시험 참여를 희망하는 국민에게 각종 임상시험 정보를 제공하고 개인 건강 상태에 맞는 임상시험을 추천하는 앱 서비스다.
연구자와 기관은 트라이 올을 이용해 임상시험 대상자를 관리할 수 있다.
AI 챗봇을 통한 실시간 질의응답 등으로 임상시험 수요자와 공급자가 연결되는 양방향 서비스다.
활용된 공공데이터는 의약품 임상시험 계획 선정기준 정보, 의약품 임상시험 계획 상세정보 등이다.
장려상에는 의료용 마약류 오남용 사례 이상탐지 분석기 ‘마약탐지봇’, 외식업 메뉴 원가 및 영양성분 분석 서비스 ‘푸드로직’ 등 두 가지가 선정됐다.
수상작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식의약데이터포털 홈페이지(소통 광장 > 경진대회 > 경진대회 우수작)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앞선 수상작 중 창업으로 이어진 사례로는 개인 신체정보·건강 목표·식습관을 분석해 맞춤형 식단과 주변 음식점 메뉴를 추천해주는 ‘싱그릿’, 영양 정보와 운동 정보를 기록하면 근거리의 피트니스센터·헬스케어전문가를 매칭해주는 ‘건강해줘’, 제품 기반으로 개인의 영양 상태를 파악해 필요한 건강기능식품을 추천해주는 ‘건전지’ 등이 있다.
AI로 음식점 위생·백신 안전 체크…식약처 데이터 우수 활용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