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 대신 노안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나이가 들면 눈도 늙는다.
수정체 탄력이 떨어져 가까운 거리를 보는 데 어려움이 생기는 ‘노안’으로 괴로워진다.
노안은 일반적으로 돋보기 안경을 통해 해결한다.
안경보다 편안한 노안 교정법이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안약으로 노안이 개선된다는 연구결과가 제시됐다.
지오바나 베노치 아르헨티나 노안고등연구센터 센터장 연구팀은 안약이 노안의 해결책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14일(현지시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제34차 유럽 백내장·굴절수술학회(ESCRS) 총회’에서 발표했다.
노안이 생기면 가까운 물체나 글자가 흐릿하게 보여 안경에 의존하게 된다.
연구팀은 안경 대신 특수 안약으로 노안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동공과 모양체근(수정체 조절 근육)을 수축시키고 안압을 낮추는 약물인 ‘필로카르핀’과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인 ‘다이클로페낙’을 결합해 특수 안약을 개발했다.
평균 연령 55세인 실험참여자 766명을 대상으로 연구팀이 개발한 안약을 사용하도록 했다.
실험참여자들은 기상 시간과 기상 후 6시간이 지난 뒤 안약을 투약했다.
노안 증상이 나타날 땐 하루 3회 투약했다.
실험참여자들은 세 그룹으로 나뉘어 세 가지 안약 중 하나를 투약했다.
안약의 필로카르핀 농도가 1%, 2%, 3% 인 안약 중 하나를 투여했다.
다이클로페낙 농도는 세 그룹 모두 동일했다.
실험참여자들은 안약 투약 후 한 시간이 지난 뒤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근시 검사에 사용되는 시력검사표인 ‘예거 차트’를 읽었다.
예거 차트는 글자 크기에 따라 J1, J2 등의 단계로 나뉜다.
읽을 수 있는 단계를 기준으로 근시를 평가한다.
실험 결과 필로카르핀 세 가지 농도 모두에서 근시가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안약을 사용하자 사용 전보다 예거 차트를 평균 2~3단계 더 읽었다.
필로카르핀 농도가 1%인 안약을 투여한 그룹은 99%가 2단계 이상 더 읽었고 83%가 12개월간 근거리 시력 기능을 잘 유지했다.
필로카르핀 농도가 2%인 안약을 투여한 그룹은 69%, 3% 그룹은 84%가 3단계 이상 더 읽었다.
시력 개선 효과는 최대 2년간 지속됐고 평균적으로 434일간 효과가 나타났다.
안압 상승이나 망막 박리 같은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경미한 부작용은 발생했다.
가장 흔한 부작용은 일시적으로 흐릿해진 시력으로 32%가 겪었다.
안약 주입 시 자극을 느낀 실험참여자는 3.7%, 두통을 겪은 실험참여자는 3.8%로 나타났다.
중도에 치료를 포기한 실험참여자는 없었다.
시력 개선 정도는 안약 투약 전 시력 상태에 따라 달라졌다.
연구팀은 노안 중증도에 따라 필로카르핀 농도를 조절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중증도가 낮은 환자는 1% 농도에서 시력이 가장 잘 개선됐고 노안이 더 진행된 환자는 2% 또는 3%에서 개선 결과가 효과적이었다.
연구팀은 “안경을 쓰거나 수술적 개입을 통해 노안을 개선하는 것은 환자에게 불편을 일으키거나 합병증을 유발하는 등 문제가 있다”며 “약리학적인 방법이 비침습적이면서 편리하고 효과적인 안경 및 수술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강력한 임상 증거를 찾았다”고 말했다.
이어 “안약은 전통적인 노안 관리 방법의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며 “안약의 생리적 메커니즘을 탐구하기 위한 추가 연구를 계획 중”이라고 덧붙였다.
돋보기는 그만…노안 개선할 안약 효과 입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