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정우·배경훈·한성숙 등 이재명표 AI 인사에 쏠리는 기대
美·中 양강 구도 속 독자 기술 주권이 한국 산업 승부의 열쇠
이재명 대통령 취임 한 달 만에 장차관급 인선이 마무리됐다.
인선안 가운데 눈에 띄는 것이 AI에 실린 무게감이다.
우선 네이버에서 생성형 AI를 총괄하던 1977년생 하정우 박사가 신설된 AI수석으로 선임됐다.
여기에 더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에는 LG AI연구원장을 지내고 있던 1976년생 배경훈 박사를 지명했다.
두 인사 모두 과거에 볼 수 없던 파격적이면서 신선한 인선이다.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에는 한성숙 전 네이버 대표이사가 지명됐다.
역시 AI를 중심에 둔 인사라고 할 수 있다.
현업에서 AI를 심도 있게 다루고 있던 핵심 인물이 대거 장관에 지명됐으니 AI 관련 산업계의 기대치가 높아질 수밖에 없다.
당연하게도 관련 기업들의 주가도 상승하면서 코스피 3000 시대를 열었다.
AI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무엇보다 절실한 시점에 더없이 훌륭한 '팀 코리아'가 구성됐다고 할 수 있다.
다행스러운 일이다.
현 정부가 100조원을 투입해 추진하겠다는 AI 정책의 가장 큰 과제는 소버린 AI의 확보다.
AI의 주권을 확보하는 것은 기준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어 이미 많은 논란이 일고 있다.
그런 관점에서 필요성과 한계성, 우리 산업계의 경쟁력을 모두 살펴볼 필요가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1월22일 당선 후 첫 정책 브리핑에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발표한 바 있다.
무려 700조원의 예산을 들여 거대한 국가적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겠다는 플랜이다.
여기에 참여하겠다는 오라클, 오픈AI, 일본의 소프트뱅크 대표까지 배석시켜 트럼프가 주창하는 'MAGA(Make America Great Again)'의 핵심 사업이 AI 패권 확보임을 천명한 바 있다.
이 거대한 데이터센터에는 약 100만 개의 최신 GPU가 설치되고 미국 내 연구기관과 기업들이 생성형 AI의 개발과 서비스를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트럼프 정부는 미국 패권의 핵심이 AI 기술 발전에 있다고 확신하고 있는 것이다.
ⓒChatGPT 생성 이미지 소버린 AI는 기술 아닌 '전략자산' 그만큼 AI 기술의 산업계 파급 효과는 상상할 수 없을 만큼 파괴적이고 광범위하다.
실제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AI를 활용한 드론의 파괴력은 막강한 러시아의 군사력을 마비시키기에 충분하다는 걸 입증했다.
최근에는 전투로봇까지 등장해 상당한 전과를 올리고 있다.
뿐만 아니라 위성을 활용한 정보전에서 AI의 빠른 판단과 정확도가 결국 전쟁의 승패를 좌우한다는 게 증명되고 있다.
이제는 국방도 AI 역량이 좌우하는 시대다.
그만큼 패권 유지가 중요한 미국에 AI는 그 어떤 것보다 우선순위가 높은 기술일 수밖에 없다.
미국과 패권경쟁을 하겠다고 나선 중국도 엄청난 자원을 AI 분야에 쏟아붓고 있다.
미국에 비해 뒤처진다고 생각했는데 올해 초 딥시크(Deepseek)의 등장으로 대등한 성능의 AI 개발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했다.
이후에도 AI를 전 산업계로 확대하면서 거의 '묻지마 투자'를 정부 주도로 이끌고 있다.
최근에는 캄보디아와 군사합동훈련을 하면서 AI를 장착한 유니트리의 로봇개에 기관총을 장착해 AI 전투로봇의 실전 배치 가능성까지 보여줬다.
더구나 요즘 국방의 핵심 전력이라는 드론 기술은 이미 미국을 넘어 세계 최강이 됐다.
여기에 탑재할 최고의 AI 소프트웨어만 개발한다면 미국과 한번 다퉈볼 만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미·중 패권전쟁은 AI 경쟁이 돼버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AI 발전을 늦추기 위해 엔비디아 GPU 최신버전 수출을 금지시켜버렸다.
중국도 대응할 만한 반도체 개발을 위해 묻지마 수준의 자본과 인재를 투입하고 있다.
미·중 패권경쟁으로 인해 세계 AI 시장의 협력은 양분됐다.
미국은 우리나라, 대만, 일본을 엮어 '칩4 동맹'을 맺고 AI 반도체 기술이 중국에 넘어가지 않도록 애쓰는 중이다.
중국도 미국 중심의 세계 구도를 자국 중심으로 재편하는 데 핵심이 AI 기술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결국 이 패권경쟁에서 AI 주권은 우리의 가장 강력한 생존 무기가 될 수 있다.
미·중 누구에게도 매력 있는 협력 파트너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소버린 AI를 확보하는 것은 어느 때보다 중요한 과제가 됐다.
문제는 자본이다.
미국은 단일 프로젝트에 700조원을 퍼붓는다.
미국 대표 AI 기업들의 시가총액 합계는 거의 3경원에 이른다.
지분의 1%만 팔아도 무려 300조원의 R&D(연구개발) 자금이 생기는 셈이다.
이 거대 자본이 세계 최고의 인재를 끌어모아 과감히 투자하고 있다.
중국도 만만치 않다.
중국 경제 규모로는 감당하기 어려울 만큼 높은 연봉으로 인재를 확보하고 국민경제가 파탄 날 정도로 어려운데도 AI와 로봇에 엄청난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이 틈바구니에서 우리가 독자적 시스템을 개발해 미·중과 경쟁하겠다는 것은 무모한 일이다.
한정된 자원으로 우리가 잘할 수 있는 분야에서 경쟁력 있는 성과를 창출해야 한다.
특히 제조업이 취약한 미국과의 협력을 통해 다양한 신산업에 도전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이 될 수 있다.
전기 공급 위한 SMR 등 인프라 구축 절실 AI의 국가적 인프라를 확충하려면 거대 데이터센터 구축은 당연히 필연적이다.
이를 바탕으로 독자 AI 모델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전기 공급을 위한 인프라 구축, 효율적 에너지 관리 및 데이터 관리 기술 확보, SMR과 같은 데이터센터용 발전 기술 및 공급 기술 확보 등에도 함께 투자할 만하다.
특히 제조업 경쟁력이 중요한 우리 산업 입장에선 AI와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등 AI의 제조업 적용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이 분야는 특히 방위산업의 AI 적용과 밀접하게 연계돼 있어 우리 군의 자주국방 역량을 키우는 것과도 직결된다.
최근 우리나라의 방위산업이 각광을 받아 세계적 방산국가로 발돋움한 것도 제조산업에 접목한 디지털 기술이 이제 빛을 발한 것이라고 평가받고 있다.
그렇다면 AI 문명시대에도 그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수적이다.
자본은 제한돼 있는데 쓸 곳은 너무 많다.
항상 정부 정책을 추진할 때 풀어내야 할 어려운 숙제다.
이미 현업에서 많은 경험을 축적한 신선한 인재들이 결정권을 갖게 됐으니 과거와는 달라질 것이라는 기대감도 커진다.
이번에 몰아주는 AI 분야 예산은 어려운 살림살이에 있는 국민들이 미래 사회를 위해 쌈짓돈을 꺼내 모아준 돈이다.
AI 문명시대를 담당한 정책담당자들이 한마음 한뜻으로 그 귀한 뜻을 잘 반영해 주길 응원하는 마음으로 기대해 본다.
 
소버린 AI, 국민이 주인인 AI 시대를 열다 [최재붕의 AI생존코드]